또 다시 연말이 돌아왔다. 한 해가 지나가는 걸 알리는 매서운 칼바람과 거리의 크리스마스 장식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맘때면 항상 각종 모임들에 참석하느라 눈코 뜰 새 없는 시간이 지나간다. 사회생활을 하는 20대들은 직장 내의 각종 행사에, 종강을 맞은 대학생들은 종강파티를 겸해 열리는 연말 모임으로 발걸음을 옮긴다. 그리고 이러한 모임들에 빠지지 않는 것이 있다. 다름 아닌 ‘술’이다. 한 잔, 두 잔 들이키는 알코올로 기분이 좋아지면 그제야 진짜 연말 분위기가 완성되는 느낌이 난다.

거기까지가 끝이면 좋으련만, 연말 모임에서 꼭 만나게 되는 풍경이 있다. 술이 사람을 마셔버리는 참혹한 상황이다. 추운 길거리에서 전봇대를 부여잡고 구역질을 하는 사람, 술집 전체를 무대로 고성을 지르며 싸우는 사람, 갑자기 혼자 사라지더니 다음날 가방을 잃어버렸다고 연락이 오는 사람. 이제는 없으면 왠지 허전하기까지 할 정도로 익숙한, 우리의 잘못된 음주 문화가 낳은 풍경들이다.

잘못된 음주 문화 중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폭음 문화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14일 발표한 주류 섭취량 및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26.5%는 한 번에 소주를 8잔 이상 마시는 고위험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15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아직 ‘간이 깨끗한’ 20대의 폭음은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의 2010년 연구에 따르면, 20대의 26.2%가 한 번 음주 시 소주 기준 10잔 이상을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2주일에 3회 이상 폭음하는 비율도 28.7%에 달했다. 폭음으로 인해 사람들이 인사불성이 됐을 때, 각종 범죄와 일탈 행위가 증가한다는 점에 비추었을 때 꽤나 심각한 폭음 비율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알코올 섭취 권장량에 의한 적정 소주 음주량은 남자 5잔, 여자 2.5잔이다.

폭음을 부추기는 술자리 강권 문화도 문제다. 상사와 직원, 선배와 후배 사이의 위계질서가 여전히 중시되는 분위기 속에서 원치 않는 술까지 받아 마시면서 술자리를 버텨야 하는 경우가 여전히 많다. 식약청 조사 결과 원치 않는 술을 거부한다는 응답자는 48.7%에 그쳤다. 술을 강권하는 분위기로 인해 특히 대학가에서는 음주 도중 대학생이 사망하는 등 각종 안전사고가 매년 발생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특히 다수의 사람들이 대학을 통해서 처음 공식적인 음주 문화를 경험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강권 문화가 더욱 우려된다. 또한 낮술 문화, 밤샘 문화 등 장시간 음주를 동반하는 문화들도 그 문제가 크다. 시간을 가리지 않는 음주 습관은 일상생활에까지 지장을 주기 때문이다.

술은 도구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할 때 적당히 흥을 돋우기 위한 수단이다. 도구가 도구답게 작동할 때, 연말 술자리는 아름다운 사진으로 기억에 저장될 것이다. 그러나 술 그 자체가 목적이 되고, 술을 통제하지 못하게 될 지경이 되면 기다렸던 모임은 또 하나의 지우고 싶은 ‘흑역사’가 되어버릴 것이다. 연초에만 ‘작심삼일’ 이런저런 다짐하지 말고, 연말에도 다짐 하나 해 보자. 잘못된 음주 문화, 이제는 고칠 때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