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살의 청년 아담이 있다. 아침에는 도심 속에서 조깅을 하고, 건강을 위해서는 술, 담배를 전혀 하지 않는다. 또한 조깅을 하면서도 횡단보도의 신호는 끝까지 지키는 바른생활의 사나이다. 하지만 이런 그에게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떨어진다. 병원에서 그에게 척추 암이라는 희귀암 진단을 내린다. 생존확률은 50/50이란다. 극중 절친 으로 나오는 카일의 말처럼 카지노에선 최고의 확률이라지 않은가. 아무튼 그 후 아담은 반반이라는 확률 속에서 반갑지 않는 암과의 동거가 시작된다

난치병 환자의 영화나 드라마가 감동적인 이유는 시청자는 주인공이 아픔을 겪으면서 자신의 인생에 대한 소중함을 한 번 더 깨달을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사랑하는 애인이 끝까지 난치병의 주인공을 지켜주면서 고귀한 사랑에 감동을 받기 때문이다. 하지만 50/50에서, 여자 친구는 눈물을 흘리며 그의 곁을 지켜주겠다고 약속하지만 그 약속은 거짓에 불과하다. 돌봐주는것도 하루 이틀이다. 직장일은 점점 바빠지고, 아담을 간호하는데 힘이 들기 시작한다. 어느 날 전시회에서 여자 친구는 낯선 남자와 묘한 감정이 흐르고 그 장면을 목격한 카일은 사진을 찍어 애덤한테 보여주면서 ‘니 여친이 모세같이 생긴 놈이랑 키스하고 있었다고!!’말하면서 신나게 욕을 해준다. 또한 영화가 종교의 힘을 빌리거나 주인공의 끝없는 기도로 죽음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면 관객이 느끼는 감동은 아마 덜 했을 것이다.

50/50이 관객들에게 친근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실화라는 장점도 있지만, 아담이 병을 이겨내는 과정이 현실적이고 소소하기 때문 일 것이다. 카일은 아담이 암에 걸렸다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이런 기회를 이용해 클럽에 가서 여자를 꼬시는 자고 하는 장면, 꼬신 여자들 앞에서 당당하게 암에 걸린 사실을 말하는 모습은 그의 삶이 절망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 소원이 운전이라는 아담의 말에 카일은 ‘뭐? 마지막 소원이 운전? 시발 지금 스카이다이빙 하면서 섹스해도 모자랄 판에!!’ 라면서 아담을 못마땅해 한다.

하지만 아담이 진실로 병을 이길 수 있었던 이유는 주변사람들의 소중함과 진심어린 사랑을 느끼기 시작하면서 이다. 심리상담사를 처음 만났을 때는 어리다고 불신하고 무시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소중한 감정을 느끼고, 절친 카일도 자신을 이용해 여자를 만날 생각만하는 이기적인 존재로 생각했지만 카일이 자신을 위해 책을 읽고 밑줄을 쳐가면서 자신을 도와주기 위해 노력한 것을 알게 되고, 평소 부모님에 대해서도 자신을 항상 귀찮게 하는 존재로 여겼지만 자신을 걱정하고 아끼는 사실에 소중한 존재로 다시금 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50/50이라는 반반의 확률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아담의 인식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인식을 갖게 해준 것은 주변인들의 도움과 소중함의 깨달음 이다.

영화의 이야기는 우리에게도 언제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마틴 하이데거는 ‘인간은 항상 죽음을 향한 일방통행의 여행 중이고, 출구는 없다고 했다.’ 다만 죽음에 도달하는 시간이나 방법이 각자마다 다를 뿐이다. 우리는 항상 죽음과 삶의 50/50이라는 확률에서 살고 있다. 다들 새해를 맞아 신년계획을 세우거나 세웠을 것이다. 다양한 계획들 사이로 ‘주변사람들에 대해 소중함을 느끼기’를 추가해 보는 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