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서울에서 자취를 한다는 것은 그 시작부터 우울해지는 일이다. 말도 안 되게 높은 부동산 거품은 주거의 최하위에 놓인 20대들의 주거 환경을 너무도 불안하게 만들어 놓았다. 가격이 괜찮다 싶으면 반지하이거나 옥탑이거나 뭔가 하자가 있는 것이 당연지사고, 조금 괜찮은 집이다 싶으면 집세 내기가 만만치 않다. 둘 중 하나는 포기하는 게 어쩔 수 없다고들 하지만 외국의 사정을 보면 또 그렇지도 않은 것 같다.

돌아오는 8월에 스페인으로 교환학생을 떠나게 된 민경호(23) 씨는 스페인에서 살 방을 인터넷으로 알아보다가 생각 외로 저렴한 가격에 깜짝 놀랐다. 월300~450유로 정도면 플랫(flat, 아파트와 유사한 개념으로 방은 각자 쓰고 부엌, 욕실 등은 공유)에 방 한 칸 정도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한국 돈으로 45~65만 원 수준이다. 기본적으로 스페인이 한국보다 물가 수준이 높다는 걸 고려하면 놀라운 가격이다. 실제로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 이유미(24) 씨는 월 400유로(60만 원)에 일반 가정집에 방을 얻고 살았다. “60만 원이면 저렴하지 않게 보일 수 있지만, 일단 보증금이 없고 방이나 집도 넓은 편이고 외롭지도 않고요. 원룸에 사는 것에 비해 비용 절감이 되니까요.”

출처 : http://yunaspin.blog.me/130085600824

플랫셰어(flatshare)는 집합주택 한 채를 여러 명의 거주자가 이용하는 거주형태로 각자 방을 나눠 쓰고 부엌과 식당, 욕실 등은 공동으로 사용한다. 한국의 하숙집 형태를 자취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고, 2~3인이 살만한 아파트의 가격이 1인용 원룸 세 개를 임대하는 것보다 싸기 때문에 비용절감 측면에서 외국에서는 흔한 거주형태다. 플랫메이트(flatmate)를 구해 플랫의 임대료를 나눠 낸다. 원룸에 비해 저렴하고 혼자 사는 외로움을 덜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홈스테이(homestay)에 비해서는 프라이버시를 보장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플랫셰어는 외국에서만 가능한 문화는 아니다. 한국에서도 3명이서 쓰리룸을 구하는 것이, 2명이서 투룸을 구하는 것이 원룸 3개, 2개를 얻어 쓰는 것에 비해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골목바람부동산의 조희재 대표는 “주거비 측면에서만 본다면 당연히 3명이 집을 쉐어하는 게 저렴하다. 임대료뿐만 아니라 각종 공과금 역시 저렴해진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대학가에서 원룸을 구하려면 보통 보증금 1000만 원에 월세 50만 원 정도, 적게는 보증금 500만 원에 월세 40만 원은 주어야 그럴 듯한 방을 구할 수 있다. 어쨌든 방 크기는 한 자리 숫자를 벗어나기가 힘들며, 이마저도 실평수를 따지면 더 작아진다.

네이버부동산 영등포구 월세 정보

서울에서도 아주 비싼 지역을 제외하면 20평형대 방 3개짜리 아파트의 월세 가격이 보증금 5000만 원에 월세 90만 원 정도다. 세간에서 쉽게 쓰는 보증금-월세 환산 방법(월세 10만 원을 보증금 1000만 원으로 환산)에 따라 계산해보면, 보증금 5000만에 월세 90만 원인 집은 1억 4000만 원 정도이니, 원룸 세 개를 구하는 데 필요한 가격(1억 3500만 원~1억 8000만 원)에 비해 비슷하거나 오히려 저렴하다. 그럼에도 거실과 베란다까지 갖추고 운이 좋으면 화장실 2개인 집에 살 수도 있으니 주거의 질은 높아진다. 치안이나 생활편의시설 면에서도 원룸촌에 비해 아파트촌이 아무래도 나을 수밖에 없다.

송혜란(24) 씨는 대학생 신분으로 동대문구 이문동에서 아파트에 거주했다. 비슷한 지역의 대학에 함께 진학한 고향 친구 세 명과 보증금 5000만 원에 월세 60만 원인 방 3개짜리 아파트를 나누어 썼다. 세 사람이 각자 집세 20만 원과 공동생활비 10만 원씩 부담하면 생활이 해결된다. 그는 “혼자서는 어림없는 좋은 환경에서 싼 가격에 살 수 있고, 가족은 아니지만 의지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느낌을 받아 정서적으로도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숱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플랫 문화가 한국에 정착하지 못하고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외국에서 플랫셰어를 체험해 본 20대들은 크게 두 가지 문제를 꼽는다. 먼저 집값의 문제다. 현재 로스엔젤레스의 50평 아파트를 2명이 나눠 쓰고 있는 김가영(24) 씨는 한 달에 1200달러(130만 원)를 주거비로 사용한다. 직업이 있어서 임대료가 커다란 부담이 되지는 않는다. “한국에서 아파트나 하우스로 나오는 월세가 일단 많지 않고, 나오더라도 월세가  대학생들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서 책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 돈을 낼 수 있는 직장인들은 월세로 돈을 날리기보다는 저축하거나 주택담보대출을 하는 듯하다.”라고 진단했다.

대학생들이 감당할만한 60~100만 원 정도의 월세를 받는 아파트들의 경우에도 한국의 특수한 제도인 ‘보증금’이 한 번 더 장애가 된다. 5000만 원 정도의 보증금을 세 명이서 마련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부담이다. 기본적인 돈 마련의 문제도 있고, 플랫메이트 세 명이 아파트를 사용하는 기간이 맞지 않으면, 거주에 변화가 생길 때 보증금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문화적인 차이다. 뉴욕 버팔로에서 한 달 730달러(80만 원) 플랫에 살고 있는 오명철(24) 씨는 “여기서는 한 집에서 남자 여자가 같이 사는 게 대수롭지 않고 물론 그들은 그냥 친구다. 그렇지만 한국 사회의 특성상, 플랫 문화가 사실상 동거로 비춰져 플랫에 사는 여자를 보는 시선이 곱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가영 씨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잘 뭉치고 집단적 정서가 있는 것 같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생각보다 굉장히 개인적이고 각자의 시간을 중시하는 것 같다. 파티 같은 어울림의 문화도 부족하다.”고 말했다.

ⓒ 조인스랜드부동산



한국에서 플랫셰어가 경제적, 문화적 이유로 아직 활발하진 못하지만, 외로운 현대 사회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골목바람부동산의 조희재 대표는 “주거의 질을 정서적인 공유,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의 의미로 본다면 1-2인가구가 중심인 현대사회의 대안주거문화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과도한 보증금 문제나 동거를 무작정 좋지 않게만 바라보는 인식이 변화한다면, 외롭고 궁상맞은 20대의 주거 환경이 조금이나마 풍요롭게 변할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