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없는 세대투표였다. 출구조사 결과,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는 50대 이상의 유권자로부터는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으나, 2030 유권자에게선 30% 초반대의 지지를 받는 것에 그쳤다. 2030의 2/3가 박 후보를 지지하지 않은 것이다. 2030은 등록금, 일자리, 주택, 육아등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을 직접 대면하고 있는 세대다. 이들이야말로 정치를 통해 불안한 현실을 바꿀 수 있기를 가장 희망한다. 이들이 다른 세대에 비해 박 당선자에게 지지를 보내지 않은 것은 박 당선자로서도 고민해봐야 할 문제이다.

단순히 2030의 진보성향으로 해석할 순 없다. 젊은 층이 보수화 된다는 이야기가 들려왔고, ‘청년 보수 단체’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이런 결과가 나왔다는 것은 박 당선자가 문재인 낙선자에 비해 20대의 마음을 사로잡는데 소홀했을 뿐더러, 청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당선자의 향후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서라도 2030의 민심을 추스려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2030은 이명박 정권의 실정에 크게 실망했다. 지난 5년동안 이명박 정권은 언론을 장악하고 표현의 자유를 앗아갔으며, 4대강사업과 같은 대형 사업을 통해 세금을 낭비하면서도 정작 개개인의 삶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정책을 펼치지 못했다. 작년에 반값등록금 시위가 격렬했지만, 결국 정부가 세운 대책은 실질적인 등록금 인하가 아닌, 장학금을 늘리는 것이었다. 젊은 층이 겪고 있는 사회적 고통은 날로 증가해 가는데, 정부는 구조적 문제를 개선할 적극적인 노력을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새누리당 정권의 무능은 결국 정권교체에 대한 2030의 열망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 박 당선자 개인의 한계도 작용했다. 민주화 시대에서 살아온 2030에게는 과거사에 대한 박 당선자의 인식, 속을 알 수 없는 불통의 이미지가 반감을 샀다. 또한 세련되지 못한 말솜씨, 토론 과정에서 전교조나 종북을 들먹이며 상대방을 폄훼하는 이념적 편향성도 2030에서의 지지를 깎아먹은 데 한 몫 했을 것이다.

만약 2030의 사회적 여건이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악화될 경우 선거에서의 열패감이 고스란히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다. 2030의 反박 정서를 박 당선자는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2030으로부터 신뢰를 쌓아나갈 수 있도록 각별히 노력해야 한다. 대선 과정동안 박 당선자는 대학생, 취업준비생, 젊은 부부등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했다. 공약으로 내세운 정책들을 하나하나 지켜나가면서 젊은이들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새누리당과 박 당선자가 기득권을 옹호한다는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해서, 소외된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그가 말하는 ‘100% 대한민국’에 여성, 비정규직, 장애인, 성소수자등이 빠져서는 안 될 것이다.

박 당선자는 후보 시절부터 ‘국민 대통합’을 강조했다. 대통령 당선이 확정된 후 광화문 광장에서의 대국민메시지에서도 ‘대통합 대통령’이 되겠다고 선언했다. 그 약속 꼭 지켜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