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인 19일, 오후 5시 반쯤에 찾아간 노량진에는 의외로 사람이 많았다. 서울이 텅텅 빈 추석 당일에도, 저녁시간이 다가오자 학원이나 독서실에서 공부하던 수험생들이 헐렁한 차림에 슬리퍼를 신고 거리로 나오고 있었다. 세 곳만 열려 있는 컵밥 노점상 앞에는 평소처럼 수험생들로 북적거렸다.
 


 
 
 
컵밥 먹는 사람들 

이어폰을 끼고 혼자서 컵밥을 먹고 있었던 공민준(20·가명)씨는 노량진 고시원에 사는 재수생이다. 집은 천안이지만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고, 눈치가 보여서 내려가지 않았다고 한다. 그에게 추석이란 딱히 별다를 게 없는 날이었다. 오히려 추석에는 상당수의 밥집이 문을 닫는 바람에, 수험생들이 먹을 곳이 마땅치 않아서 불편하다고 털어놓았다. 컵밥이 맛있었냐는 질문에 그는 “그냥 한 끼 때우는 거죠”라며 씁쓸한 웃음을 지으며 다시 학원 자습실로 들어갔다.
 
매경 테스트를 준비한다는 서경수(24·가명)씨도 컵밥을 빠르게 먹고 독서실로 향하고 있었다. 그는 추석이지만 부모님 따라 큰 집으로 내려가는 대신, 노량진에 있는 독서실에서 인강을 들으며 공부하고 있었다. 추석인데 컵밥 먹는 게 서럽지는 않았냐고 묻자, “그런 기분은 안 느끼는데, 단지 맛있는 게 먹고 싶다는 생각은 든다. 송편이 정말 먹고 싶다”고 말했다.

서서, 또는 쪼그리고, 아니면 길바닥에 앉아서 10분 안에 컵밥을 먹어치운 수많은 사람들은 다시 유유히 자신이 공부하는 곳으로 돌아가는 듯 했다. 갈비, 전, 송편등이 있는 푸짐한 명절상은 그들의 것이 아니었다. 
 
 




24시간이 모자라… 추석에도 공부는 계속 된다
 
추석에도 대부분의 학원은 자습실을 개방해놓았다. 수험생들이 공부하러 오기 때문이다. 심지어 공무원 시험 대비 모 학원은 ‘승진 교육학’ 수업이 추석 당일에도 잡혀있었다. 교육행정 사무관 승진 시험이 10월 26일로, 얼마 안 남았기 때문에 추석에도 수업을 하는 모양이었다.

공무원 시험 대비 학원 옆에 있는 패스트푸드점은 추석이라 오히려 장사가 잘 되는 것 같았다. 대부분의 식당이 문을 닫다 보니, 학원에서 공부하던 수험생들이 가장 가깝고, 편하게 먹을 수 있는 곳이 패스트 푸드점이었기 때문이다. 햄버거를 저녁으로 먹고 다시 학원에 들어온 김영혜(26·가명)씨는 내년 9급 공무원을 목표로 공부하고 있었다. 그는 “추석 음식 같은 것 별로 먹고 싶지 않다. 햄버거가 맛있다. 자습실이 텅텅 비어서 오히려 추석이 공부하기 더 좋다”며 명절에 전혀 개의치 않는 모습을 보였다.




대부분의 독서실도 평소보다는 늦은 시각에 열었으나 쉬진 않았다. 한 독서실 앞에서 만난 임용고시생 김하선(25·가명)씨는 “가뜩이나 추석이라 약간 들뜬 분위기라서, 집에 있으면 더 공부가 안 된다. 그나마 독서실에 나와야 공부가 더 잘 된다”고 독서실에 오는 이유를 밝혔다. 독서실에 사람이 많냐고 묻자 “오늘 독서실이 12시에 열었는데, 당연히 평소보다는 많지 않다. 하지만 나처럼 집이 서울이거나, 자취생인데 고향에 내려가지 않는 수험생들은 대부분 독서실을 찾는 것 같다. 지방직 7급 공무원 같은 경우에 3주밖에 안 남았는데 추석이라고 놀겠는가”라고 말했다. 그는 점심으로는 간단하게 고구마 하나를 먹었다고 했다.

수험생들은 급했다. 7급 공무원은 10월 초, 수능과 해양 경찰은 11월 초, 교사 임용시험은 12월 초에 필기시험을 본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만큼, 그들에게 명절은 그다지 중요하게 느껴지지 않았을 것이다. 추석에도 노량진이 붐빌 수밖에 없는 이유다.
 


물론 노량진에 수험생만 있는 것은 아니다. 노숙자 행색의 남성은 햄버거와 컵라면을 뜯지 않은 채 앉아서 자고 있었다. 경찰서 앞에 서 있는 사람은 군인 신분인 의경. 한편 방범순찰 중이던 의경들은 컵밥 노점상 앞에서 침을 꼴깍 삼키며 지나갔다.



인터뷰 거부하는 수험생들, 그 까닭은?
 
해가 지고 어둑해지니 더 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나왔다. 겉으로만 보면 추석에도 노량진은 활기찼다. 그러나 다른 번화가와는 분위기가 달랐다. 혼자 다니는 사람이 많았고, 시끄럽게 떠드는 무리들을 찾아볼 수가 없었다. 문을 닫는 대다수의 밥집과는 대조적으로 카페는 대부분 문을 열었지만, 그곳에서도 수다 떠는 사람들보다는 혼자 공부하는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더 많았다. 평소에 있던 스터디 무리도 찾아볼 수 없었다. 삭막한 느낌마저 들었다.

무엇보다 노량진 수험생들이 기자의 인터뷰 요청을 연이어 거부하는 것이 조금 이상했다. 정중하게 인사를 하고 무언가를 물어보려고 하면, 그냥 무시하거나, “바빠요” 하면서 지나가는 경우가 많았다. 또는 “노량진에서 공부하고 계시냐”고 물어보면 “공부 안해요. 놀러왔어요”라고 대답하는 것만 5~6번 정도 들었다. 물론 낯선 사람이 길거리에서 기자의 질문에 응답 안 해주는 일이야 많이 경험했지만, 노량진은 분위기가 묘했다. 인터뷰를 해주더라도 실명을 말해주거나 사진 촬영을 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거부했다.

이에 대해 2년 전 추석을 편입학원 자습실에서 공부하며, 튀김우동 사발면과 삼각김밥을 사먹으며 보냈던 박영준 (27·가명)씨는 “그럴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는 “성적을 빠른 시간에 올려야 하는데, 당연히 마음 먹은대로 되진 않는다. 결국 공부하다가 지쳐서 자기 자신에게 주눅이 들고, 자연스레 낯선 사람에게 경계심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자신의 경험에 비춰볼 때 사람들하고 잘 안 만나게 되고, 자신만의 틀에 갇혀 있다 보니 인터뷰 같은 걸 선뜻 해줄 리가 없다는 게 그의 생각이었다.

인터뷰에 응해줬던 임용고시생 김하선씨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노량진 사람들은 노량진 사람들끼리만 이야기 하는 것 같다. 마음도 급하고, 공부 이외에는 다 귀찮게 느껴지는 데, 이런저런 질문에 대답해주기 싫을 것이다. 그나마 대답해주는 사람들은 노량진에 ‘덜 찌든’ 사람들일지도…”라고 말했다. 

추석날, 노량진의 수험생들은 독서실이나 학원 옥상에서 큰 보름달을 보며 다들 한 가지 공통 된 소원을 빌었을 지도 모른다. “노량진 생활을 빨리 끝났으면 좋겠어요. 내년 추석은 이곳에서 보내지 않게 해 주세요”라고. 답답함과 불안한 마음으로 추석을 보내는 수험생들의 뒷모습이 유독 작아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