씁쓸한 기사를 보았다. 주제는 2030과 4050의 밥그릇 쟁탈전이다. 기사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제한된 파이를 둘러싼 세대 갈등이 갈수록 심화될 것이라 지적했다. 세대 갈등은 사실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다. 2007년 <88만원 세대>이 지적한 386세대와 20대 간의 갈등으로 세대 갈등이 부각됐고 작년 대선을 전후로 각종 언론들은 이를 주요 소재로 삼았다.

세대 갈등을 전면 부인하려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이번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이슈에선 실제로 2030이 실질적인 손해를 볼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다. 급속히 증가하는 노년층과 반대로 감소하는 청년층이 충돌하면서 갈등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세대 갈등을 마치 사회의 가장 주요한 갈등처럼 여기는 것은 본말을 전도하는 것이다. 세대 갈등이 우리 사회 내부에 분명 존재하는 것이긴 하나 더 중요하고 주목해야 할 것은 그것이 아니다. 우리 사회가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은 99%의 노동자 계급과 1%의 재벌 계급 간의 대립이다.

ⓒ 동아닷컴


기사의 한 교수가 지적한 것처럼 더 이상 우리는 ‘성장’에 큰 기대를 걸 수 없다. 유일한 길은 경제 창출에 있어서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끄는 것이지만 이는 기술 변화와 정부 정책이 정확하게 쿵짝을 이뤄야만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성장 담론으로는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인 ‘양극화’를 해결할 수 없다. 양극화는 1대 99의 싸움이다. 결국 한국 사회를 관통하는 갈등은 99%의 노동자 계급과 1%의 재벌 계급 간의 대립이며, 따라서 우리는 성장이 아닌 ‘분배’에 가능성을 걸어야 하는 것이다. 
 
세대 갈등을 증명하는 대부분의 사례들은 노동자 내에서의 갈등을 나타낸 것으로 그 범위가 지엽적이라는 문제를 갖고 있다. 대표적으로 복지 담론이 그렇다. 복지의 본질은 재벌과 대기업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걷어 사회의 다양한 취약계층(세대를 막론하고)에게 사회적 안전망을 제공한다는 것에 있다. 그러나 일부 언론은 복지를 세대 갈등으로 엮으면서 마치 복지가 한 쪽 세대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는 식으로 복지의 본질을 가리고 복지 정책을 가로막고 있다. 

세대 담론 속에서 정작 주목해야 할 것들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 정치권과 언론의 부추김이 원인이다. 결국 우리 스스로가 끊임없이 감시하고 다잡을 수밖에 없다. 끝으로 전상진 서강대 교수의 말을 인용한다. “정치권의 자정을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에선 우리 스스로가 그들의 의도를 경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