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성 언론을 향한 쓴소리, 언론유감! 시즌3로 새롭게 돌아왔습니다. 수많은 언론에서 날마다 다뤄지는 20대, 청년, 대학생 관련 기사 중 20대에 대한 왜곡된 시선을 날카롭게 비평하는 고함20의 전통 연재! 언론유감 시즌3에서는 한 주간의 기사들 중 ‘좋음(Good)' '그럭저럭(SoSo)' '나쁨(Bad)'으로 각각 3개의 기사를 제시하는 형식을 재도입함으로써, 20대를 바라보는 바람직한 인식은 무엇일지 독자와 함께 한 번 더 생각해고자 합니다.

GOOD: [오마이뉴스]'살얼음판' 한국 대입제도... 독일에 답이 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13904


세월호 참사 이후 6.4지방선거에서 다수의 진보 교육감이 선출되면서 혁신학교가 확대될 전망에 대해 기사는 혁신학교가 우리사회의 교육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말한다. 현재의 ‘살얼음판’ 입시제도가 유지한 채로는 혁신학교도, 사교육도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런 입시제도는 성적순으로 교육의 권리, 한사람의 인생을 줄 세운다. 추가적으로 대학의 정원제로 나아가 대학 서열이 학생들 사이 계급을 나누고 있다.

본 기사는 우리나라 교육문제의 해법으로 국립대학을 정원 제한이 없는 개방대학 형식으로 통합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 예시로 독일대학을 든다. 필자는 높은 대학 진학률에 비해 학문적 성과는 매우 낮은 현실은 우리나라 대학시스템의 비효율적인지 알 수 있다고 말한다. 대학 입학 때부터 경쟁과 한사람의 인생을 결정 지어버리는 것이 우리 입시의 폐해중 하나라고 덧붙인다. 대입의 문턱이 낮아지고 모두에게 동등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제공되어야하며 다만 졸업은 쉽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독일대학을 예시를 들어 필자는 우리나라 대학시스템을 현란하게 비판한다. 그리고 정원 제한 대학을 제시하며 현재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임을 말한다. 또 필자가 제시하는 제도가 경쟁력이 떨어질지도 모른다는 반론에 대한 반론도 잊지 않는다. 필자가 제시한 제도 도입 시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혁신적인 제도라 생각한다. 사교육, 입시부터 시작되는 대학서열로 인한 계급, 비싼 등록금, 높은 대학 진학률에 반비례하는 성과 및 취업률 등 우리가 떠 앉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되지 않을까.
 
SOSO:[중앙일보] 2030은 정치를 모르고 싶다
http://joongang.joins.com/article/aid/2014/07/23/14908761.html?cloc=olink|article|default


ⓒ중앙일보



ⓒ중앙일보

기사는 20~30대 대학생, 직장인 215명을 대상으로 정치상식 테스트를 실시해 결과를 분석한다. 테스트 결과 평균 33점, 우리들의 정치 관심도라고 말해도 무관하다고 기사는 말한다. 기사와 함께 게시된 인포그라피에 선호하는 정치인이 없다고 말한 2030은 반 이상이다. 또 테스트에 응시한 한 대학생은 “거짓 공약만 남발하는 정치권은 알고 싶지도 않다”고 말한 것에서 기사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테스트 자체로 우리들의 정치관심도를 단적으로 알 수 있는 재밌는 기사이다. 기사 제목에서 말하듯 ‘2030은 정치를 모르고 싶다’라고 전한다. 우리들이 정치를 잘 아는지 모르는지를 떠나 왜 관심을 가지려 하지 않는지 나타나는 기사다. 지금 언론유감을 읽는 독자들도 위 기사에서 출제한 정치영역 문제를 풀어 보는 것이 어떤가.

BAD: [한국경제] 기업 들볶는데 청년 일자리 풀릴까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71726941

기사는 새누리당 청년정책연구센터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이 낮은 것이 현재 청년실업과 관련 있다고 말한다. 많은 대학생들이 취업을 하기위해 취업용 스펙을 쌓고 있고, 졸업예정자들이 휴학을 해 학교에 남아있거나 취업을 위해 성형하는 것이 유행이라며, 대통령이 인기와 연관 짓는다. 시작은 청년의 실업문제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하는 듯하다.

그러나 기사는 전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때부터 지금까지 대기업 들볶기 규제를 하고 있으며, 많은 대기업이 망하거나 재무적으로 위태위태하다고 말한다. 일부 사업에 대한 대기업의 접근을 규제하고 중소기업에게 기회를 주거나, 출자총액 제한, 순환출자금지 입법 등에 대해 비판한다. 결과적으로 기사는 대기업 들볶기 규제로 대기업이 커지지 못하니 일자리가 만들어지지 않아 청년들의 고용문제가 해소되지 못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의 승패 또한 기업 투자를 높여 청년 일자리를 늘리는 것에 달려있다고 마무리한다.

필자는 자본적인 부분들만을 언급하며 청년일자리문제를 이야기한다. 청년실업의 근본적인 문제가 대기업 규제에만 국한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필자는 마치 대기업 규제가 여유가 있다면 청년 실업이 해소될 것처럼 말한다. 기사는 청년 실업문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그저 대기업 규제에 대한 불만을 청년 실업에 빌어 토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