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함20>은 2014년 5월 9일 '고함당'을 창당해 총 17개의 정책제안을 했다.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청년들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정책을 제안하자는 의도 아래 진행된 일이었지만, 고함당은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고함당원들의 씽크빅 부족으로 그들은 더 이상 정책제안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당원들은 고함당의 내실을 다지기위해 서둘러 씽크탱크인 '고함당 청년연구소'를 설립하기로 마음먹었다. [고함당 청년연구소]는 다양한 분야의 청년연구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30세대, G세대, 웹 2.0세대 등, 지금의 20대를 설명하려는 세대 담론은 다양하다. 하지만 우석훈․박권일이 그들의 저서에서 오늘날 청년세대를 ‘88만원 세대’로 지칭한 이후로는 지금의 20대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88만원 세대론을 빼놓을 수 없게 됐다.

여타의 세대보다 오늘날의 20대는 설명하기 쉽지 않다. 워낙 다양한 삶의 모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세대의 보편적인 특징을 규정해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세대론으로 20대를 설명하려는 시도는 계속되어 왔다. 그 속에서 20대는 잘 설명되기도 하고, 정치적으로 이용당하기도 했다.  

세대론을 둘러싼 이런 맥락 속에서 청년연구소는 20대를 둘러싼 세대 담론을 살펴보고 그 속에 담겨 있는 20대가 처한 현실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그래서 청년연구소는 세대 담론과 관련한 세 가지의 논문을 선정했다. 첫 번째로 소개할 논문은 한윤형 저서의 <월드컵주체와 촛불시위사이, 불안의 세대를 말한다 – 강제로 규정된 청년세대의 복잡미묘함에 대해>이다. 청년연구소는 이 글을 통해 88만원 세대 이전에는 어떤 세대 담론이 있어 왔는지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청어람아카데미


20대의 과거사 - X세대, N세대

X세대란 1990년대 초에 당시의 20대를 규정하던 세대담론이다. X세대 담론은 산업화의 주역을 자부하는 당시의 청년세대와, 민주화 운동의 표상이었던 386세대와 구별되는 20대의 특징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등장했다. X세대는 대중문화와 소비의 영역에 한 획을 긋는 세대로, ‘서태지와 아이들’로 대변된다.


N세대는 지금의 청년세대가 10대였을 무렵을 가리키는 말이다. 저자는 N세대의 중요한 특질로 ‘포드주의로부터의 이탈’과 ‘사이버스페이스’를 꼽았다. N세대는 대량생산을 통해 만들어진 상품을 그저 소비하기만 하지 않지 않는다. 개성을 강조할 수 있는 자신만의 스타일을 추구하며 새로운 소비경향을 만들어낸다. 이들의 역동성은 인터넷의 영향을 받는 동시에 인터넷을 통해 강화되기도 한다. 이들은 단지 어렸을 때부터 인터넷에 익숙하여 인터넷 활용을 잘 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커뮤니티의 활용을 통해 공간의 제약을 초월한다.


X세대 담론과 N세대 담론은 둘 다 오늘날의 20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저자는 오늘날의 20대가 과거에(혹은 현재까지도) HOT의 강력한 지지세력이었다는 점은 X세대의 영향이라고 말한다. 대중문화를 통해 세상을 인식하고, 팬클럽문화를 통해 조직을 학습한 X세대의 모습은, 오늘날 20대의 청소년기에서도 엿볼 수 있다. 또한 N세대 담론은 그 자체로 오늘날 20대가 10대일 때의 모습을 뜻한다.


20대를 말하려는 시도와 그 함정 - G세대와 웹2.0세대

G세대는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혹은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태어난 이들을 지칭하는 말로, ‘역사상 가장 많은 지원을 받고 자랐으며 외국어 능력과 컴퓨터 능력으로 무장하고 글로벌 시대를 헤쳐 나갈 능력이 있는 젊은이’를 뜻한다. G세대론은 오늘날 젊은이들의 모습을 일면 담아내고 있다. 웹 2.0세대는 “촛불시위를 일으킨 진보적이고 발랄한 10대”를 말한다. 웹 2.0세대는 ‘88만원 세대’로 표상되는 20대와 대비된다.


위의 두 세대론에는 정치적 혹은 계층적 이해관계가 담겨있다. G세대론은 변희재의 세대자질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대자질론은 해당 세대의 문제점은 해당 세대의 자질에서 비롯되는 문제점이라고 보는 시각을 뜻한다. 웹 2.0 세대는 2008년 총선에서 개혁세력의 패배에 대한 책임을 보수화된 20대의 책임으로 돌리면서 등장한 개념이다. 사실상 촛불시위에서 지금의 20대를 떨어뜨려 놓고 생각할 수 없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개혁세력이 자신들의 무능의 책임을 20대에게 돌리려고 한 점은 분명해 보인다.


G세대론과 웹 2.0세대론은 사회 문제를 정치적․정책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20대의 외부에서 세대론을 이용해 사회 문제의 원인을 20대의 특성에서 찾도록 한다. 사회적․구조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20대의 탓으로 돌리는 것이다. 이런 세대론은 사실상 20대를 설명할 생각이 있었는지조차 의문스럽다. 세대론의 함정이다.


20대의 현주소 - 88만원 세대

88만원 세대론은 우석훈․박권일의 저서 『88만원 세대』의 주장이다. ‘88만원 세대’에는 취업을 한 20대의 대부분 비정규직이며, 비정규직 20대의 월평균 급여가 ‘88만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담겨있다. 88만원 세대론은, 기존의 세대론이 청년문제에 대한 책임을 청년세대의 특성 탓으로 만드는 데에 대한 방어적 담론이다.


<<88만원 세대>>는 계층불평등이 곧 ‘세대불평등’이 될 것이라는 통찰을 제시한다. 계층 불평등의 세대전이를 뒷받침하는 요인은 불안정한 노동환경과 부동산 소유여부이다. 현재의 청년세대는 나이가 들수록 임금이 높아지는 기성세대와는 달리 나이가 들어서도 젊었을 때와 비슷한 임금을 받게 될 확률이 높다. 또한, 부동산 소유여부라는 요인은 계층불평등이 임금 못지않게 부동산 자산의 격차에 의해 심화되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반영한다.

 

혹자는 통계적 분석을 통해 88만원 세대의 분석이 무의미함을 지적한다. 그러나 88만원 세대의 통찰의 방향은 미래이며, 계층불평등을 세대로 전이시키는 요인들 역시 시간의 영향을 받으므로 현재 상태를 바탕으로 한 통계분석은 의미가 없다고 반박했다. 저자는 88만원 세대론을 “원래부터 88만원을 벌었던 젊은이들이 아니라, 어른들이 시키는 대로 사회에 적응하며 살아왔음에도 불구하고 88만원을 벌게 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진 젊은이를 위한 담론”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지금 20대는 어떤 세대인가

저자는 앞서 언급한 세대론의 내용과 등장 배경을 살피면서 이를 토대로 지금의 20대의 모습에 대해 말한다. 저자는 지금의 20대를 “파편화된 취향과 만성화된 불안의 세대”라고 정의한다. 오늘날의 20대에게는 80년대의 대학생들이 맑스를 이야기하듯, 90년대의 대학생들이 포스트모던 철학자들을 이야기하듯 대화를 시작할 공통의 화두가 없다. 오늘날의 청년들은 파편화되어 존재하며, 이는 청년세대의 삶의 어려움과 맞물려 만성적인 불안을 만들어낸다.


이 논문에서 아쉬운 점은 구심점 없이 파편화된 채로 존재하는 20대를 뭉치도록 하기 위해 제시한 방법이 빈약하다는 점이다. 사실상 문화 컨텐츠를 통해 20대에게 공동의 화제거리를 심어주자는 내용 외에 대안이 없다. 그렇지만 이 논문은 오늘날의 20대의 특성을 애써 단정지으려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20대의 이야기를 잘 풀어냈다. 저자 한윤형이 이 논문을 썼던 당시 20대였던 점을 고려하면, 20대 스스로가 20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이 논문에는 통계적 자료나 어떤 실증적 자료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20대의 삶의 모습이 잘 드러난다.

 

청년연구소는 다음 차례에서도 세대 담론을 다룬다. 이번 청년연구소가 88만원 세대 이전에는 어떤 세대담론이 있었는지를 중심으로 주로 20대에 대한 세대담론을 살펴봤다면, 다음 청년연구소는 그 범위를 확장한다. 세대론을 다루는 청년연구소의 두 번째 논문은 세대론의 범위를 청년세대로 한정하지 않고, 전반적인 세대론에 대해 폭넓은 이야기를 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