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희철 페이스북
청년은 정치와 가까워질 수 없는 것일까. 지난 5일, 새정치민주연합 안희철 전국청년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사퇴 글을 남겼다. 원인은 청년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못하고, 청년 정치인을 육성할 수 없는 청년위 환경이었다. 안 위원장이 "새정치민주연합이 실제로 내부에서는 전혀 청년을 대변하려 한다거나 청년을 동등한 정치인으로 대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었습니다", 새정치 전국청년위원회 1년 예산이 "0원"임을 언급한 점을 보면 청년위는 청년을 위해 존재하지 않았다.
청년위원회는 본디 정치권까지 닿지 않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정치적으로 대변하기 위한 조직이다. 청년의 삶이 팍팍하다는 것은 더 이상 말하기 입 아플 정도이다. 취업에서부터 주거까지 어디 하나 쉬운 것이 없다. 소수 청년들만이 청년 실업과 살 곳이 없는 것을 걱정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개인의 문제다. 그러나 통계는 청년 전반이 겪는 문제임을 보여준다. 결국 사회 구조적 문제 때문에 청년들이 고통 받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정치인들은 청년들의 문제를 공론화함으로써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 정치권은 자신들이 직접 경험해보지 못해 알지 못하는 청년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청년들을 정치계로 불러들였다. 그렇게 청년위원회는 탄생한 듯했다.
'20대의 시선 > 데일리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대역LTE 이벤트? 지하철WiFi 부터 개선하길 (2) | 2014.07.15 |
---|---|
어이쿠, 생각 없는 나라님 변덕에 뭘 하겠나? - 원피스 展 취소 사태 (1) | 2014.07.11 |
원자력과 자동차, 어느 것이 더 위험할까 (0) | 2014.07.08 |
[데일리칼럼] 도서전, 책 할인 그 이상이 필요하다 (0) | 2014.07.07 |
[데일리칼럼] 치열한 여름방학, 여전한 열정노동 (0) | 2014.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