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매체 [고함20]이 밖으로 나왔습니다. 2015년 7월 30일. 고함20은 [트웬티스 타임라인(20's timeline)]과 함께 라운드테이블 '우린 이미 끝났어. 그러니까 XXX하자'를 열었습니다. 우리는 기성세대가 마음대로 재단한 '청년'은 '끝났다'고 선언하며, 그 거부를 넘어서는 '20대가 만드는' 새로운 '청년'의 열어보고자 했습니다.

 

20대를 규정하는 시선에 대한 불편함


패널들은 대한민국 20대로서 겪는 현실을 먼저 토로했습니다. 고함20의 황소연 기자는 “세대론은 ‘논’하는 것만 담겨있는 게 아니라, 젊은 세대를 한탄하고 젊은 세대에게 뭔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더 많다”면서, 기성세대의 눈으로 청년들에게 뭔가를 지시하는 세대론에 대한 불편함을 드러냈습니다.


서울 합정동 '무대륙'에서 진행된 <우린 이미 끝났어, 그러니까 XXXX하자> 라운드테이블 진행 모습


고함20의 최효훈 기자는 “기성세대의 세대론이 토익점수, 자격증, 봉사활동, 취직, 결혼 등의 조건으로 20대를 구속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유진 에디터도 “타자의 시선에서 청년을 바라보는 프레임들은 왜 항상 부정적인 것들인지에 대한 의문을 떨칠 수가 없다”며 “정말 20대가 그런 모습인지, 많은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청년이 스스로의 이야기를 하는 것 


패널들은 기성언론에 구속되지 않고 20대 당사자의 이야기를 하는데 있어 느끼게 되는 어려움이 다양했습니다. 본인들이 하는 이야기가 ‘징징대는 것’처럼 보지는 않을지 걱정하기도 하고, 혹은 그런 이야기를 해도 ‘그게 무슨 가치가 있느냐’고 말하는 사람들을 보면 무력감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20대 언론이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는데요. 20대의 이야기를 해주는 사람들을 보면, 그 안에 청년 당사자의 목소리는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실은 20대 독립언론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지만 그들이 직면한 숙제이기도 합니다. 기존의 언론이 규정하는 모든 것을 거부하는 것과 동시에 다양한 20대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책임도 있죠. 이유진 에디터는 “기성세대가 씌운 프레임을 벗기 위해서는 20대 ‘스스로’가 무언가를 한다는데 포인트를 둬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독자가 볼 때 ‘이토록 많은 20대의 모습이 있구나’라고 느끼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발언하고 있는 [고함20]의 최효훈 기자


최효훈 기자는 20대에 대한 당사자성이 20대 독립언론이 갖는 장점임을 밝혔지만, 기성언론의 문제를 100%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애초에 20대는 각자 환경에 따라 너무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독립언론의 구성원이 대부분 비슷한 환경(수도권 4년제 대학생)을 가진 사람들이라는 것은 한계점입니다. 그는 이 어려움을 ‘당사자성의 아이러니’라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20대 언론이 독립언론으로써 잘 살아남기 위해서는 ‘20대의 당사자성과 그에 따른 콘텐츠와 내용의 다양성이 중요합니다. 사실 20대 언론은 기성 언론들만큼의 정보력과 자본력이 부족하므로, 같은 분야에서는 경쟁력을 가질 수 없습니다. 하지만 20대로서 할 수 있는 20대의 이야기를 주제로 다루는 것은 20대 언론이 기성언론보다 유리하겠죠. 그 장점을 살리고 유지하기 위한 고민은 더욱 깊어져야 할 것입니다.


20대 언론의 미래는? 


고함20의 기자들 같은 경우 기존 미디어처럼 안정적으로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황소연 기자는 네덜란드의 ‘드 코레스폰덴트’라는 비영리 언론을 예로 들었는데요. 기자의 평균 연령이 30세가 안 되고 2만6천여 명 정도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네요. 성공적인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자신들의 언론 철학을 알렸다고 합니다. 이들은 “좋은 기사는 길어도 끝까지 읽는다”는 명제를 실험하고 있습니다. 황 기자는 “돈을 내고 보는 독자들이 많은 것뿐만 아니라 기사에 대한 원칙을 세운 것도 부럽고 고함20이 닮아야 할 점 같다”고 했습니다. 


최효훈 기자는 안정적인 체계의 구축은 필요하지만 그만큼 우려되는 점을 세 가지 꼽았습니다. 첫 번째로 규모가 커지고 구성원이 많아지면, 그만큼 의견 충돌이 많아지고 그에 따른 타협점으로 무난한 방향의 콘텐츠를 생산할 수밖에 없는 점. 두 번째는 유지 자체에도 힘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불안정한 환경을 가진 20대만으로는 운영하기 어려운 점. 마지막으로는 외부적인 문제로 기성언론이 20대를 편견 없이 제대로 다루기 시작한다면 20대 언론의 필요성은 사라질 것이라는 점입니다. 그만큼 “20대 언론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이 끊임없이 나와야 한다”고 하네요. 


발언하고 있는 [20's Timeline] 이유진 에디터


트탐라의 에디터들은 조금 다른 생각을 내비쳤습니다. 이유진 에디터는 “언론이라는 단어 자체가 젊은 세대에게 무겁게 받아들여지는 것 같다”며 “트탐라에 게시되는 모든 것들은 기사가 아닌 ‘콘텐츠’의 개념으로 이해되기를 바란다”고 했습니다. ‘매체를 통하여 어떤 사실을 알리고 여론을 형성한다’는 언론의 정의는 자연스럽게 활용하되, 다만 20대 매체의 활동이 ‘언론’이라는 단어의 무게감에 희생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것입니다. 


살아남아라, 20대 언론! 


아직은 척박한 20대 언론 활동의 환경에서 이들은 저마다 다양하고 깊은 고민을 쏟아냈습니다. 어찌 보면 사람들에게 20대 독립언론은 너무나도 생소한 개념일 지도 모릅니다. 호락호락하지만은 않겠지만, 이들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기성언론이 규정하는 20대의 모습을 거부하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노력해 왔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20대 언론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남을까요? 20대 언론과 수많은 청년이 앞으로 함께 빈칸을 함께 채워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우린 이미 끝났어, 그러니까 XXX하자.



라운드 테이블 홍보 포스터


* 아래는 라운드 테이블이 끝나고 객석에서 나온 질문과 답변입니다.

Q1: 20대 독립언론은 차별화된 콘텐츠를 어떤 주제와 방식으로 만들어야 하나요? 


최효훈 기자는 이 질문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지만 그만큼 어려운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부족하다고 생각하긴 하지만 기성언론도 청년문제를 다루기는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단편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는 20대 언론들이 잘할 수 있는 것을 집중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예를 들면 고함20은 12년도에 대선 특별판으로 ‘그럼 이제 20대를 만나’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기성언론에 의해 형성된 20대의 모습을 벗어나 정말 다양한 모습의 20대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리자는 취지였습니다. 이런 것이 20대 언론이 갖는 차별화된 콘텐츠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지금의 내가 20대로서 세상에 대해 바라보는 것을 이야기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Q2: 현재의 20대 언론은 현재 20대인 구성원들이 20대의 이야기를 한다는 것에 정체성을 두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구성원들이 20대를 지나 30대가 되면 그 정체성은 어떻게 유지해야 하나요? 


이해찬 에디터는 20대 언론의 정체성이 구성원 때문에 유지되기도 하지만 중요한 것은 콘텐츠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현재의 구성원들이 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콘텐츠로서 최대한 생산하면 그 정체성은 유지되리라는 것입니다. 


글/정리. 풍뎅이(koreayee@nate.com)

사진. 이매진(temporis@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