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고함20 기획 (400)

[지방빼는 세상에서 살아남기] 4화. 요즘 세상에 시급 4천 원 받는 알바가 있다고?

헐, 요즘 세상에 시급 4천 원 받는 알바가 있어? 있다. 요즘 세상에. 정말 X같은 일이지 않은가. 최저임금은 “국가가 근로자의 생활안정을 위해 정한 임금의 최저 수준”을 뜻한다. 말 그대로 ‘최소한’ 이 시급은 주고 부려 먹으라고 법으로 강제하는 거다. 올해 최저임금 시간당 5580원, 작년은 5210원, 재작년은 4860원이었다. 올여름, 2016년 최저임금이 6030원으로 결정되었다. 노사 모두 이의를 제기했다. 한쪽은 인상률이 너무 높다고, 한쪽은 택도 없다고. 그런데, 대한민국 어딘가에선 이 최저임금마저 무의미한 노동 세상이 펼쳐져 있다. 서울 아닌 지역에서 조금 더 흔한, 미친 최저시급 # 경은 씨(18)는 편의점에서 시간당 4천 원을 받고 일했다. 불과 몇 달 전, 광주에서다. # 재현 씨..

[지방 빼는 세상에서 살아남기] 3화. 청년들의 타향살이..이래 힘들라꼬 집 떠나온 것은 아닌데

만만치가 않네. 서울 생활이란 게.이래 벌어가꼬 언제 집을 사나.답답한 마음에 한숨만 나오네.월세 내랴 굶고 안 해본 게 없네.이래 힘들라꼬 집 떠나온 것은 아닌데.점점 더 지친다 이놈에 서울살이 밴드 장미여관의 '서울살이' 中 밴드 장미여관이 타향살이의 애환을 담아 부른 노래다. 사실 타향살이의 애환은 꼭 서울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청년의 타향살이는 대체로 고달프다. 내 고향이 아닌 곳, 경제적 기반을 닦지 못한 곳, 가족과 떨어진 낯선 곳에서의 새 출발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타향살이엔 ‘빈곤함’이나 ‘외로움’과 같은 단어가 실과 바늘처럼 딸려온다. 그럼에도 많은 청년들은 타향살이를 고민하거나 선택한다. 그들이 '빈곤함'과 '외로움'을 감수하면서까지 타향살이를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타향살이는 그들에..

[마리저] ⑤ 세대 담론에 매몰되지 않고 20대에 대해 말하는 20대를 상상해보겠습니다

7월 14일부터 8월 18일까지 [고함20]은 아마추어 저널리즘에 관한 프로그램 을 진행합니다. 는 강의와 세미나를 통해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경계선을 긋는 것부터, 아마추어 저널리즘이 할 수 있는 일과 해야만 하는 일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지난 8월 11일 진행되었던 마이리틀저널리즘 5주차 프로그램에서는 페르마타 기자의 세대 담론에 대한 강의가 있었습니다. 과연 청년 기자들이 쓴 기사들은 청년 세대에 대한 일반화와 대표성을 잘 갖추고 있을까요. 한 세대를 주제로 한 기사를 쓸 때 기자들이 주의해야 할 것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아래는 페르마타 기자가 ‘세대 담론에 매몰되지 않고 20대에 대해 말하는 20대를 상상해보겠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진행했던 세미나 정리본입니다. 당사자성에 기대어 청년에 대해 말..

[지방 빼는 세상에서 살아남기] 2화. 서울이 뭐기에, 지방 청년들의 취준 분투기

청년 취업 빙하기 시대다. 차갑게 얼어붙은 고용 시장은 녹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일자리 정책을 둘러싸고 사회적 논의가 첨예하지만, 청년들이 체감온도는 여전히 낮다. 빙하 위에 서 있는 청년들은 세상이 따뜻해지기만 마냥 기다릴 수 없다. 아직까지 많은 이들이 기억하는 시트콤 대사도 있지 않은가.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인해 청년실업이 50만 명에 육박하는 이때 미래에 대한 철저한 준비 없이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겠습니까!” 그렇다. 청년 실업에 대한 해결책은 청년들 각자의 ‘철저한 준비’로 남겨졌다. 우리는 부단히 손발을 움직여 뭐라도 해야 한다. 그런데 아뿔싸! ‘뭐라도 할 수 있는 상황’조차 특권인 시대가 돼버렸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모든 것의 중심에 서 있는 서울은 말 그대로 ..

밖으로 나온 20대 언론, 그들이 말하고 싶은 것은?

온라인 매체 [고함20]이 밖으로 나왔습니다. 2015년 7월 30일. 고함20은 [트웬티스 타임라인(20's timeline)]과 함께 라운드테이블 '우린 이미 끝났어. 그러니까 XXX하자'를 열었습니다. 우리는 기성세대가 마음대로 재단한 '청년'은 '끝났다'고 선언하며, 그 거부를 넘어서는 '20대가 만드는' 새로운 '청년'의 열어보고자 했습니다. 20대를 규정하는 시선에 대한 불편함 패널들은 대한민국 20대로서 겪는 현실을 먼저 토로했습니다. 고함20의 황소연 기자는 “세대론은 ‘논’하는 것만 담겨있는 게 아니라, 젊은 세대를 한탄하고 젊은 세대에게 뭔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더 많다”면서, 기성세대의 눈으로 청년들에게 뭔가를 지시하는 세대론에 대한 불편함을 드러냈습니다. 서울 합정동 '무대륙'에서 진..

[지방 빼는 세상에서 살아남기] 1화. 지방에 사는 것은 청년을 불편하게 만든다?

혹시 '서울 수렴의 법칙'이라고, 들어 봤니? [서울 수렴의 법칙] : 정의 : 모든 것이 서울로 수렴하는 현상을 뜻하는 (우리가 만든) 신조어. 교과서는 서울을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소비의 중심지’라고 설명한다. 이미 인구의 49%가 수도권 지역에 살고 있지만,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서울로 향하는 중이다. 예시 : 정약용 선생도 “무슨 일이 있어도 사대문 밖으로 이사 가지 말고 버티라. 멀리 서울을 벗어나는 순간 기회는 사라지며 사회적으로 재기하기 어렵다”는 말을 남겼다. 대한민국 청년 인구 : 서울 청년 인구 = 1029만 명 : 244만 명 ∴ “대한민국 청년의 네 명 중 한 명은 서울에 산다.” 전 국토의 0.6% 밖에 되지 않는 면적에 대한민국 청년의 24%가 살고 있다..

[마리저] ④ 우주의 얕은 짜깁기를 넘어서

7월 14일부터 8월 18일까지 [고함20]은 아마추어 저널리즘에 관한 프로그램 을 진행합니다. 는 강의와 세미나를 통해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경계선을 긋는 것부터, 아마추어 저널리즘이 할 수 있는 일과 해야만 하는 일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지난 8월 4일 진행되었던 마이 리틀 저널리즘 4주차 프로그램에서는 블럭 기자가 생각하는 ‘디지털 저널리즘’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저널리즘 환경도 변화하면서 ‘디지털 저널리즘’이 탄생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저널리즘은 동시에 저널리즘의 위기를 낳고 있습니다. 아래는 블럭 기자가 ‘디지털 저널리즘: 우주의 얕은 짜깁기를 넘어서’라는 제목으로 진행했던 세미나의 정리입니다. 큐레이션은 ‘진정한’ 저널리즘인가? 음악을 만드는 방식은 다양합..

[지방 빼는 세상에서 살아남기] 0화. 프롤로그

"세상에 20대들의 목소리를 내자!" 20대들이 모여 을 만든 이유입니다. 지난 6년 간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했습니다. 그럼에도 마음 한 켠에는 늘 의문이 있었습니다. "우리, 정말 청년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거 맞아?" 기자들의 다수는 수도권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습니다. 서울을 기반으로 20대들이 모여 단체를 조직했고, 주로 시간적 여유가 되는 대학생들이 '재능기부' 형태로 활동하는 조직의 특성 때문이죠.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지역에 지부를 두기도 했지만 오래 가지는 못했습니다. 물리적 거리만큼 지방 청년들의 목소리는 쉽게 들리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의 청년 인구는 1029만 명입니다. 청년 인구의 네 명 중 한 명은 서울에 삽니다. 바꿔 말하면, 네 명 중 세 ..

[마리저] ③ 기성 언론과 아마추어 저널리즘, 정말로 달.라.요?

7월 14일부터 8월 18일까지 [고함20]은 아마추어 저널리즘에 관한 프로그램 을 진행합니다. 는 강의와 세미나를 통해 아마추어 저널리즘의 경계선을 긋는 것부터, 아마추어 저널리즘이 할 수 있는 일과 해야만 하는 일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지난 7월 28일 진행되었던 마이리틀저널리즘 3주차 프로그램에서는 감언이설 기자가 생각하는 ‘아마추어저널리즘’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기성언론이 존재하지만 아마추어 저널리즘은 무엇인지, 저널리즘의 맥락에서 같은 것인지, 아마추어이기에 다른 것인지. 아래는 감언이설 기자가 ‘기성언론과 아마추어저널리즘, 정말로 달라요?’라는 제목으로 진행했던 세미나의 정리입니다. 아마추어 저널리즘이란 말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말은 아닙니다. 수많은 ‘저널리즘’ 단어들이 생겨났듯이 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