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는 사회에선 암암리에 무언가를 할 ‘적당한’ 시기를 정해 놓았다. 10대엔 무엇을 20대, 30대엔 무엇을 할 적당한 시기 말이다. 일반적인 시기에 맞춰 10대를 보내고 나서 20대를 시작하는 사람의 신분은 보통 대학생이다. 이렇게 적당한 때에 맞춰 당연한 듯 대학에 입학한 후 남자에겐 1학년이나 2학년을 마치고 군대를 가는 것이, 여자에겐 20대 중반을 넘기기 전에 취직을 해 자리를 잡는 것이 적당한 경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렇게‘적당한’ 시기라는 관념은 그것을 믿는 사람들에게 제약을 건다. 바로 ‘늦지 않았을까?’ 라 것이 그것이다. 나이가 들 수 록 늦었다는 생각에 새로운 환경으로 가는 시도를 하는 사람들은 흔하지 않다.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하는 ‘만학도’도 그런 경우이다. 그런데 한 대학 캠퍼스에서 스물아홉세의 만학도를 만났다. 경력이 꽤 쌓인 직장을 그만두고, ‘영화를 만들고 싶어서, 탄탄한 스토리를 위한 소스를 얻기 위해’ 공부를 더 하고자 스물여섯이라는 늦은 나이에 08학번으로 입학한 안효진씨가 바로 그 사람이다.
S#1. 늦은 대학 입학 결심/ 20대의 중반에서.
11월 중순의 해질녘. 인터뷰이 안효진이 살고 있는 서울 홍대 앞의 한 고시원 4층 스터디룸. 인터뷰이 안효진과 기자가 탁자에 서로 마주보며 앉아 있고 그들의 주변엔 입주민으로 보이는 사람이 몇 명 앉아있다. 안효진과 기자는 서로 안면이 있는 사이라 인터뷰를 시작하려하자 다소 어색한 분위기가 흐른다.
기자: 안녕하세요. 자기소개를 간단하게 해주시겠어요?
안효진: 저는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재학 중인 안효진입니다. 지금은 휴학 하고 한겨레 영화연출학교에 다니고 있어요. 스물아홉살이구요.
기자: 늦게 공부를 시작한 계기가 무엇인가요?
안효진: 검정고시를 보고, 돈도 없고 가고 싶은 대학이 없어서 대학을 안 갔어요. 바로 미용관련 일을 시작했죠. 그러고 나니 어느새 24살이 됐고 경력을 꽤 쌓았었죠. 일이 재미있긴 했는데 어느 순간 “공부가 하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어렸을 적부터 책이랑 영화 보는 걸 좋아했는데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 바로 영화를 만드는 공부가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S#2. 대학 진학의 뚜렷한 목적/ 영화를 위해.
기자: 늦게 시작하는 게 불안하지는 않았나요?
기자: 영화를 제작하고 싶었는데 왜 문화인류학과로 진학하셨나요?
S#3. 늦은 대학 입학/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노력
기자: 대학 입학 후 동기나 선배보다 많은 나이 때문에 생기는 어려움은 없었나요?
기자: 그전에 했던 직장생활과는 다른 대학생활을 통해 바뀐 것이 있나요?
↑ 안효진씨가 한양대학교 영상인류학회 활동을 하면서 만든 작품. <Follow The Rainbow>와 <나는 대학간다, 고로 존재한다>
S#4. 인생은 지도 없는 여행/ 모든 어려움은 영화의 밑천
안효진씨가 홍대 앞의 고시원에 살면서 만든 작품. 그녀는 고시원은 잠깐 거쳐가는 '정거장'에 비유하고, 서울이라는 도시의 특성과 엮어 영상을 풀어 나갔다.
기자: 쉽지 않은 시도를 하면서, 좌절할 때도 있었을 것 같아요. 그럴 땐 어떻게 그걸 견뎠나요?
안효진: 물론, 좌절 할 때 있죠. 그런데 경험들도 나중에 이야기를 만드는데 좋은 기반이 되겠지 라고 생각하고 하나하나 기록을 했어요. 나의 행동패턴을 세세히. 그러다 보면 또 기분이 좋아져요(웃음) 인생은 어차피 여행이라는 생각을 항상 하고요.
기자: 효진씨의 차후 계획은 무엇인가요?
안효진: 극영화에 대한 욕심도 있지만 일단 지금은 다큐 쪽 일을 하고 싶기 때문에 대학 졸업 후에는 방송국에 들어가고 싶어요. 탄탄한 이야기를 하는 대중지향적인 감독이 되고 싶어요.
(O.L) “산다는 건 말랑말랑한 상태에서 하나, 둘 상처가 생겨 울퉁불퉁해지면 그 상처를 둥글게 다듬어 가는 거라고 생각해요.
'고함20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 특성화고 졸업 대학생, "특성화고 갔다고 바로 취업한다는 건 고정관념" (0) | 2011.12.02 |
---|---|
[기획] 한국을 알리고 싶은 인도인 유학생, 선저이 씨 (0) | 2011.12.01 |
[기획] 대학생도 몰랐던 대학생들의 이야기 (1) | 2011.11.29 |
[기획] 대학교 교양수업, 진짜 문제는 따로 있다 (2) | 2011.11.26 |
[기획] 대학교 교양수업, 제 맘대로 수업도 못 고르나요? (0) | 2011.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