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안에 게시되어 있는 전시회에 대한 설명
이번 졸업 작품 전시회는 디자이너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민을 담은 전시회에요. 부제에 나온 동자동은 서울시 용산구에 소재하고 있는 서울의 대표적인 쪽방촌인데 1평 남짓한 공간에서 화재의 위험과 불결한 위생, 사계절의 극심한 온도 차이에 노출된 채 주민들이 살고 계세요. 이번 졸업 작품 전시회는 바로 이 동자동의 환경을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에 대한 저희 나름대로의 고민과 해결책을 담은 결과물이에요. 부제인 ‘동자동이 묻고 우리 그리고 당신이 답하다’는 저희뿐만 아니라 전시회에 오신 관람객 여러분들도 관람을 하시고 동자동에 대한 나름의 생각을 해보시라는 의미에요.
이지민 씨의 작품 '새싹이 움트는 대지'
-작업하는 데 얼마나 걸리셨어요?
1월 말부터 전체적인 짜임과 주제를 잡고 방학 동안은 계속 전체 작업을 했어요. 학기가 시작하고 나서는 개인 작업과 전체 작업을 병행했고요. 6월 말에서야 모든 작업이 끝났어요. 결국 올해 상반기를 여기에 다 쏟아 부은 셈이죠.(웃음)
모든 학생이 공통으로 말하는 게 창의성을 드러내는 것이 어려웠다고들 하더라고요. 기존에 없던 것들을 만들어 내면서도 남들이 봤을 때 관심을 가질 만한 흥미로운 컨셉을 생각하고 또 형태적으로는 다른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어려운 과정인 것 같아요.
-솔직히 말하면 굉장히 놀랐어요. 디자인이란 것은 그저 보기 좋고 예쁘고 실용적인 것만 만드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낸다는 것이 의외네요. 주제를 동자동으로 선택하게 된 이유가 있나요?
사실 기존의 졸업 작품 전시회나 공모전에서는 개인의 창의력을 검증하기 위해 현실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고 거기에 초점을 맞추지만 우리는 디자이너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민을 담고 싶었어요. 단순히 보기 좋고 화려한 겉모습에만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의 편에서 그 사람들을 위해 디자이너로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우리 나름대로의 역할을 해보자는 의도로 주제를 잡았어요. 그리고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찾던 중 연합뉴스 차지연 기자의 기사를 보고 동자동을 주제로 선택하게 됐고요.
-실제로 동자동을 처음 가봤을 때 느낌은 어땠나요?
무서웠죠. 사람들이 경계의 시선으로 우릴 쳐다보고 입구에서부터 대낮에 술을 마시고 있었어요. 사진 찍는 것도 싫어하고 그냥 무조건 나가라고 하고 어디서 왔냐면서 경계심을 잔뜩 드러내서 무서웠어요. 사실 처음부터 편견을 가지고 다가갔기 때문에 더더욱 무서워 보였던 것 같네요.
-처음에 그렇게 낯선 이를 경계하던 주민들이 어떻게 경계심을 풀고 프로젝트를 할 수 있도록 협조했나요?
동자동 사랑방이라고 주민들을 위해 사회적 활동을 하는 활동가들의 모임이 있어요. 여기에서는 여러 활동을 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사랑방마을 공제협동조합이에요. 가난한 분들이 서로의 힘을 모아 설립한 단체인데 어려운 이웃들에게 대출도 해주는 사업을 하고 있어요. 이 분들이라면 주민 분들과 친하니까 우리에 대한 경계심을 푸는 데 도움을 주실 것 같았어요. 그 대표님을 찾아가 졸업 작품 전시회에 대해 말씀드렸고 대표님과 함께 다니면서 주민들에게 협조를 구할 수 있었죠.
-전시회를 하면서 깨달은 점이 있나요?
전공인 디자인에 대한 것보단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 많이 생각해 볼 수 있었어요. 동자동 주민들은 사람들의 동정 어린 시선을 굉장히 싫어해요. 그들 나름대로의 삶과 그들만의 즐거움이 있는데 사람들은 무조건 그들을 불쌍하다고 생각하고 불행한 삶을 살아간다고 여기니까요. 편견을 갖고 보지 말고 그들과 가까워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 사회적으로도 소외된 사람들을 돕기 위한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단 생각이 들었어요.
-마지막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디자인이란 무엇인가요?
저는 그 동안 디자인의 겉으로 보이는 화려한 면만 부각되는 것에 심한 이질감을 느꼈어요. 이번에 졸업 작품 전시회의 주제를 동자동으로 정해서 작업을 할 때 그 동안 느껴왔던 이질감이 해소된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디자인은 화려하고 예쁜 것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에요. 사람의 마음을 치유하는 소박한 것, 사회적으로도 약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져 줄 수 있는 것이 진짜 필요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죠.
'뉴스 > 인터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에 미쳤다' - 밴드 6066의 베이시스트 김학겸씨 인터뷰 (0) | 2012.07.09 |
---|---|
대전 청년유니온 위원장 장주영씨, "우리는 혼자가 아냐" (0) | 2012.07.06 |
노동자와 연대하는 학생들의 모임, 충남대학교 '청연' (0) | 2012.07.04 |
분자적 욕망의 가능성을 예찬하다! - 신승철 박사 인터뷰 (0) | 2012.07.02 |
극 작가 이윤택 - ‘성 안의 사람이 될 것이냐, 성 밖의 사람이 될 것이냐’ (0) | 2012.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