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전 불쌍한 사람들을 도와주고 싶어요. 그리고 요즘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잖아요, 또 사회복지사는 취업률도 높다는데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공부해서 멋진 사회복지사가 되고 싶어요!”고3인 영미(가명)가 말했다. 학교 지원서에 사회복지학을 쓰는 영미의 손은 거침없었다. 선생님은 약간 고민을 하는 것 같다. 이어 ‘취업이 잘된다는데 뭐...’라고 혼잣말을 하더니 영미의 지원서를 받아준다.
 
                             <사회복지사는 전문성이 필요한 직업임에도 취득방법이 쉬워 문제가 되고 있다.>

                                 
전문성 낮은 사회복지사

“불쌍한 사람을 도와주는 것이 사회복지 아닌가요?”곽아무개씨(21)는 말한다. 이와 같은 대답에 사회복지학 교수들은 늘 불평을 한다. “사회복지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입니다.”라고 사회복지학과 이교수는 말한다. 사회복지사는 단순히 ‘불쌍하니까, 도와주자.’라는 마음가짐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학문이 아니다. 이러한 것은 일시적인 봉사의 개념에 더욱 가깝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민정서가 곽아무개씨의 대답과 거의 일치한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복지인식 수준에 가장 부합한다.”라고 사회복지학 교수들은 소리 높여 말한다. 그들이 주장하는 것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의 확보다. 하지만 사이버강의나 각종 학원에서 배급하는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은 사실 돈만 있으면 누구나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4년제 일반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사치다.”라는 말도 재학생들은 종종 하곤한다.

사회적 약자를 공공기관과 연대해서 법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중계점에 선 자들이 사회복지사이다. 그렇기에 이들은 법적 지식 또한 요구되고 실제 현장에서의 능동적 대비를 위해 현장실습이 절실하다. 일반대학이 다른 루트에 비해 현장실습의 경험이 많지만, 이 또한 강한 경쟁력으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또한 비록 많다고 하여도 대학시절의 현장실습 경험은 앞으로의 실 경험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결국 실제적인 복지 증진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의 양질화와 전문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정부는 사회복지에 예산을 강화하고 높은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사회복지사의 공급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양산화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은 낮아지기만 하고 있다.


이직률 높은 사회복지사

대학과정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전문성확보는 떨어진다. 하지만 현장에서의 경험을 쌓아 스스로 전문성을 확보하려는 사회복지사들도 있다. 그러나 이들은 곧 현장의 현실에 직면한다. 사회복지계의 높은 취업률의 이면에는 높은 이직률도 숨어있다. 높은 이직률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업무의 고단함과 낮은 급여에 있다. 사회복지사들 사이에서는 씁쓸한 우스갯소리가 있다. 부부둘이 사회복지사이면 기초생활수급대상자라는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낮은 급여를 잘 대변해주는 말이다. 이러한 낮은 급여의 원인은 정부의 민간위탁에 있다. 사회복지의 규모는 점점 늘어나 가는데 이것을 국가적 차원에서의 관리가 아니라 지자체에 떠넘긴 것이다. 때문에 각 지자체는 자율적으로 복지예산을 편성하고 그 예산으로 사회복지 기관의 지원과 사회복지사들의 급여를 결정한다. 지자체의 자율적 특성상 각 시도별로 사회복지사의 급여의 수준도 현저하다. 서울, 경기, 충청권을 벗어나기 시작하면 사회복지사의 급여가 고작 100만원도 안되는 곳도 많다. 결국 열악한 환경은 사회복지사의 높은 이직률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로 각 사회복지기관은 전문성을 가진 인재의 확보를 어렵게 만들었다.


2012년 역시 정치권의 키워드는 복지. 하지만

지난 2011년의 정치권의 키워드는 복지였다. 올해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복지를 통한 민심잡기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여야를 막론하고 각 정당들은 복지공약을 앞다투어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회복지사들은 정치권 안에서의 탁상공론으로 여기며 회의적이다. 정치인사들이 주장하는 보편적 복지나 선별적 복지에 앞서 우선 현장에서 일하는 자신들을 생각해 보라는 것이다. 열악한 근무환경과 낮은 급여는 높은 이직률을 대변하고 있고 이는 사회복지 전체적 차원에서의 질적 저하를 일으키게 한다.

거시적으로 정책을 정해 방향을 잡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각각의 세세한 조직적 환경에서 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가 능동적 수행을 하지 못한다면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회복지사들은 좋은 근무환경과 안정된 수입을 원한다. 또한 불쌍한 사람을 도와주는 사람이 아닌 전문가로서의 지위를 원하고 있다. 그래서 자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현장에서 일하고 싶어 한다. 정부는 이제 복지에 대한 거시적 시각만을 가질 것이 아니라 미시적 시각으로 사회복지 현장을 봐야한다. 그리하여 사회복지사들의 능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