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과거 서울 시장이었을 때 치적으로 꼽히는 사업 중 하나가 바로 청계천 복원 사업이다. 2005년 10월 1일, 2년여 간의 공사 끝에 수십 년간 콘크리트 아래 숨죽이던 청계천이 모습을 드러내자 시민들은 환호했다. ‘자연과 인간 중심의 친환경도시다!’, ‘도심 한가운데에 산책로가 생겼다!’며 언론들도 일제히 청계천의 가치를 드높였다. 청계천은 개장 후 한 달 간 627만 명이 다녀갈 정도로 온 국민의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수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 청계천은 수백억 원의 엄청난 유지비와 심각한 악취등 수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결국 지난 28일 박원순 서울시장은 환경전문가, 문화재전문가와 함께 청계천 일대를 전격 방문, 청계천 일부의 재복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출처: 아시아경제

환경문제부터 비용문제까지, 청계천의 문제점.

사실 여러 시민단체들과 환경단체들은 오래전부터 시에 청계천의 환경문제, 문화재문제 등에 대하여 개선을 요구하였으나 그들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들이 오랫동안 주장한 청계천이 지닌 문제들을 봤을 때, 청계천은 확실히 개선이 필요해보였다.

시민단체들이 지적한 청계천의 문제점중 하나는 환경적인 문제점이다. 일단 청계천이 환경적인 문제점을 지닐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청계천의 구조 때문이다. 지금 청계천은 단순히 시멘트로 만들어 놓은 길 위에 펌프로 끌어올린 한강물을 쏟아내고 있는 인공 구조물일 뿐이다. 지하수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고 하지만 적은 양일뿐인더러, 지하철 주변에서 끌어올린 지하수일 뿐이다. 그리고 시멘트로 만들어진 하천 바닥은 물고기들이 먹고 사는 수서곤충이 살 수 없어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끊어지기 마련이다. 청계천의 이러한 구조에서는 수중생물의 산란이 불가능해 생태적인 환경이 조성될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이렇듯 심각한 환경적인 문제점 외에도 문화재 훼손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청계천 복원 사업 당시, 콘크리트 아래에 묻힌 역사적 유물들을 복원한다는 슬로건을 내세웠지만 복원 당시 발견된 조선시대 석축들은 중랑구 하수종말처리장 터에 버려지고 말았다. 이외에도 여러 역사적 유물이 훼손되거나 원위치 복원에 실패됐다. 그 중에서 광통교는 공사 중에 하수관로 수평을 맞추고자 당국의 허가 없이 훼손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청계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관리비용이다. 하루 12만 톤씩 한강물을 쏟아 붓는 데에 드는 전기는 하루에만 삼만 킬로와트가 든다. 그 외의 녹조제거 비용부터 조명비용까지 추가적인 엄청난 관리비용이 시민들의 혈세로 나가고 있다. 게다가 청계천관리비용은 줄어드는 방문시민에 비해 꾸준히 오르고 있다. 2005년 당시 37억 원이었던 관리비용은 2010년 77억 원으로 두 배 이상 올랐다. 반면 방문시민의 경우 개장 초기에 비해 절반이상 줄어들었다. 전문가에 따르면 청계천이 자연형 하천으로 재복원 된다면 그 비용이 절반가까이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출처: 노컷뉴스


‘의견수렴이 안된 사업’...청계천이 지닌 문제의 가장 큰 원인

청계천이 이러한 문제점들을 갖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이명박 시장의 ‘밀어붙이기’식의 사업 때문이다. 사실 당초에 청계천 복원 공사를 제안한 것은 시민단체에서였다. 이것을 이명박 시장이 받아들이고 공약으로 내세워 실현에 옮기게 되었다. 헌데 이명박 시장이 주도한 청계천 복원 사업은 시민단체가 생각했던 복원 사업이 아닌 단순히 보여주기 위한 ‘개발형’ 사업이었다. 시민단체는 시간이 좀 더 걸리더라도 자연형 하천으로 청계천을 복원할 것을 건의했지만 이명박 서울시장은 개장일에 맞추기 위해 그들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리고 결국 ‘거대한 콘크리트 어항’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청계천이 탄생하고 말았다. 전문가의 의견을 무시하고 밀어붙이기식 공사를 진행한데에 대한 결과이다. 만약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이 시민단체의 의견을 받아들여 자연형 하천으로 청계천을 복원했더라면 수십억 원의 관리비용도, 환경문제도 발생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도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번 청계천 재복원과 관련해 과거 복원 사업에서 전문가들의 권고와 협력을 무시한 잘못을 반복하지 않겠다며 이를 위해 ‘청계천시민위원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청계천시민위원회’를 통해 독단적으로 진행되는 사업이 아닌 전문가와 시민단체들의 의견이 충분히 검토된 재복원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