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대통령 선거가 50일 앞으로 다가왔다. 대선 D-100부터 오늘까지 많은 일들이 있었다. 박근혜 후보는 과거사 인식 문제로 바람 잘 날이 없었고, ‘영계발언김성주 위원장을 비롯한 캠프 내 X맨의 활약으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발언 논란으로 홍역을 치른 문재인 후보는 안철수 후보를 향해 후보 단일화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 안 후보는 출마 당시 일으킨 돌풍에 비해, 이렇다 할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며 주춤하고 있는 모양새다.

 

ⓒ www.international.ucla.edu



각 후보와 관련한 이슈로 시끌벅적한 듯 보이지만, 사실 현재 대선 경쟁은 정체되어 있다. 현 대선은 정책 경쟁이 실종된 상태다. 각 후보의 정책은 마치 복사한 듯이 비슷해, 정책만 놓고 보면 누구의 정책인지 알기 힘들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그러다보니, 각 인물에 대한 선호도가 지지율을 결정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정책 대결은 후보 간 정책적 대립각을 날카롭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정책 경쟁은 유권자들이 각 후보가 자신의 정책을 홍보하고 상대후보의 정책을 비판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유권자 자신이 원하는 정책 방향을 가늠하게 하는 기능도 한다. 하지만 후보 모두 경제민주화를 최우선 공약으로 내걸은 데 비해 그 외의 공약은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경제민주화에서 보이는 세부적인 차이점 또한 이슈화하지 못함에 따라, 더 발전된 논의를 이끌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추석 이후 지금까지 한 달여간, 지지율도 고착화된 상태다. 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여론조사 결과, 부동층은 6.8%로 나타났다. 과거 대선에서 10~20%의 부동층이 선거 판세를 술렁이게 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충분히 역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지지율이 고착화되어 있다는 것은 그동안 대선후보자들이 표심을 사로잡을 만한 뚜렷한 대선행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선 판을 역동적으로 만들려면 흔들리는 표심을 사로잡을 적극적인 선거 전략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타후보의 고정지지층마저 흔들 수 있는 매력을 보여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상대편의 지지율을 하락시켜 반사이익을 얻기보다는 자신의 지지율을 올릴 수 있는 정책을 어필해야 할 것이다.


12월 19일을 50일 앞둔 지금, 대선은 좀 더 ‘역동적’이고 ‘재미’있어질 필요가 있다. 각 후보가 정책을 구체화함에 따라, 정책적 대립각을 세우고 더 치열하고 맹렬하게 경쟁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역동적이고 재미있는 대선을 만드는 발판은 정책이 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사람이 차기 대통령이 될 것인가’도 중요하지만, 결국 유권자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그 사람이 대통령의 이름으로 추진해나갈 정책이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