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뉴딜일자리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서울형 뉴딜일자리 사업이란 미취업자를 공공서비스 공급과정에 투입시킴으로써 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울시민에게 필요한 공공서비스를 확충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정책이다. 지난 3월 20일 사업 개요와 함께 세부 사업 17개가 발표된 이래 그중 15개의 사업이 대상모집을 마치고 5월 중으로 실질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번 뉴딜 일자리 정책을 통하여 총 3,902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예정이다. 뉴딜일자리 사업을 통해 일자리를 얻게 되는 시민은 짧게는 4개월에서 길게는 9개월까지 일을 하게 된다. 구체적인 사업 내용마다 다르기는 하나, 사업에 참여하게 되는 시민은 주5일 8시간 근무 기준으로 최대 109만원까지 임금을 받을 수 있다. (근로자 부담 4대 보험료 포함) 




뉴딜일자리 사업의 주요 특징은 취업난을 겪고 있는 시민들에게 짧게나마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서 더 나아가 장기적 관점에서 추후 정식 취업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사업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산림 내 피해목 정비사업, 보도포장 상태 조사, 맨홀 정수조사 사업 등 공공서비스의 본래 성격에 충실한 사업들도 있으나, 비영리민간단체와 함께 공익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청년혁신활동가 양성사업’, 청년인턴십 기회를 제공하는 ‘ 사회적경제 청년활동가 양성사업’ 등 미취업 청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정식 취업을 대비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려는 목적의 사업들도 눈에 띤다. 현재 청년혁신활동가 양성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토닥토닥협동조합의 조금득 대표는 사업을 긍정적으로 평하면서 “평소 청년 금융문제에 관심 있던 분들이 이번 사업을 통해 우리와 함께 활동하게 되면서 새로운 경험을 쌓을 수 있고, 우리도 상근활동가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시너지 효과가 생겼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업의 긍정적인 취지와 별개로 구체적인 사업 시행 과정을 살펴보면 개선되어 할 점이 눈에 띈다. 가장 큰 문제는 사업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박지은(27)씨는 지난달 길거리에서 우연히 ‘마을로 청년활동가 양성사업’ 광고를 발견하고 지원 사이트에 접속하였으나 이미 모집기간이 끝난 뒤였다. “취업준비생들을 도와줄 목적에서 만들어진 사업이라면 대학가 같이 학생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을 중심으로 홍보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너무 무신경한 것 같아요.” 사업명이 너무 추상적이고 모호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김정수(26)씨는 ‘청년혁신활동가 양성사업’을 청년 창업 지원 사업으로 오해하고 참여하려 했다가 낭패를 보았다고 말했다. “사업취지는 좋지만 대외 이미지를 지나치게 의식하는 것 같아요. 시민들이 쉽게 사업 내용을 알 수 있도록 배려해주었으면 좋겠어요.” 임금도 빠듯하다. 지난달부터 ‘사회경제적 청년활동가’로 일하고 있는 이영한(가명, 27)씨는 “주5일 8시간 일하는 거면 거의 정식 일자리 수준인데, 임금 수준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이에 대하여 서울시 관계자는 “구체적인 사업 내용은 서울시 홈페이지나 일자리플러스센터 홈페이지에서 공고하고 있다”며 광고를 통해 모든 정보를 전달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또한 임금에 대해서는 “공공부문 일자리의 경우 시민들의 세금을 통해 임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사기업 수준의 임금 지급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한편 내년 사업계획은 올해 사업성과를 토대로 지속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