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불위다. 삼성의 권력은 국가 위에 서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렇지 않다면 어찌 이리 대담하고 교묘하게 국가기관의 조사를 빠져 방해할 수 있단 말인가? 삼성은 어느새 국민이 통제할 수 없는 거대한 자본 권력으로 성장했다.

삼성전자는 공정거래위원회의 ‘휴대전화 가격 부풀리기 의혹’에 대한 조사를 조직적으로 방해한 것에 대해 과태료 4억 원을 부과 당했다. 이는 역대 최고의 과태료 액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월 24일 공정위 직원들이 들이닥치자, 정문에서 경비요원으로 하여금 몸싸움을 하면서까지 50분동안 시간을 끌게하고, 그 동안 중요자료가 있는 PC3대를 텅 빈 PC로 교체했다.

또한 공정위 조사 대상인 무선사업부 김 모 부서장은 고의적으로 조사를 거부했고, 그는 공정위 직원이 철수하자 숨겨왔던 PC를 가져와 파일 삭제 프로그램으로 조사 대상 자료를 모두 없앴다. 공정위는 이런 식의 조직적인 조사 방해 과정에 삼성전자 상부가 깊숙이 관여돼 있다고 보고 있다.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삼성그룹은 98년부터 지금까지 삼성자동차, 삼성카드, 삼성토탈, 그리고 삼성전자가 2005년, 2008년 두 번 공정위 조사방해로 과태료를 부과 받은 적이 있다. 그러나 과태료를 부여받고도 삼성은 달라지지 않았다. 이번에는 아예 사전 시나리오를 짜놓고, 각본대로 조사를 방해하는 기민함을 보였으며, 심지어 이번 공정위의 조사이후 국가기관을 한 보안규정을 강화하기도 했다.


후안무치다. 한국 최대의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은 외면하고, 돈만 벌려고 하는 장사치의 행태만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법과 도덕을 기만하는데서 그치지 않는다. 기업 내부에서서는 노동자들의 권리를 탄압하며 노조 설립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삼성전자에서 일하다가 죽은 백혈병 노동자들에 대한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

삼성은 그린피스 스위스 지부에서 실시한 가장 나쁜 기업을 선정하는 ‘퍼블릭 아이 어워드’에서 3위를 기록하는 오명을 얻었다. 주목해야 할 사실은 이 투표를 실시할 당시, 한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삼성을 나쁜 기업으로 선정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난 것이다. 대부분의 인터넷 투표에서 한국과 관련된 부분은 긍정적으로 투표하는 네티즌의 속성을 고려할 때, 반 삼성 정서가 널리 퍼져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건희 회장은 올해 신년메시지에서 “삼성은 국민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말의 앞뒤를 바꿔야 한다.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국민기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삼성 스스로가 왜 뛰어난 기술력만큼 삼성이 사회적으로 존경받지 못하고, 오히려 이미지가 추락하고 있는지 고민해보고 철저하게 반성해야 한다. 삼성 공화국에는 어떤 국민도 권력을 부여한 적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