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새누리당의 18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박근혜 대세론으로 비춰봤을 때 예견된 일이었다. 84%의 압도적 지지를 얻으면서, 전당대회는 사실상 박근혜 후보 추대식이 되었다. 이는 박근혜 후보의 인기를 보여주는 현상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당내 경선과정에서 치열한 검증과정을 거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민사회나 야당의 공세에 대해 어느 정도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졌다.

대선이 앞으로 4달 남았다. 박근혜 후보가 높은 지지율을 받고 있긴 하지만, 결코 순탄한 길을 갈 것 같지는 않다. 그는 역사관 논란, 공천비리 의혹등의 문제를 해소해야 하며,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넘어선 박근혜 후보만의 새로운 국가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지지율이 답보 상태고, 2030의 지지율이 여전히 취약하다는 것이 대선 가도의 장애물로 지적되고 있다.
 

새누리당 20대 정책토크에 앞서 박근혜 후보측에서 '민감한 질문은 제외해 달라'는 요청을 한 것으로 전해져 논란이 일어났다. ⓒnews is




변화를 원하는 2030들은 박근혜 후보가 계속 ‘불통’의 이미지를 고수하면서, ‘박정희 후광’에만 의존하려고 할 경우, 그에게 등을 돌릴 수밖에 없다. 박근혜 후보가 진정 2030으로부터 높은 지지율을 얻고 싶다면, 스스로 변화해야 한다. 단순히 생색내기용으로 젊은이들과 만나거나, 이야기를 나누는 식으로는 곤란하다. 청년들과 격의 없이 토론하고, 청년 문제의 심각성을 직접 느끼고,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청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정책을 내놓아야 하며, 그 정책을 실제로 실현할 수 있다는 의지를 충분히 피력해야 한다.

일자리, 주거, 등록금, 비정규직등 청년문제 속에는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들이 전부 압축적으로 녹아들어있다. 이번 대선의 화두가 되고 있는 경제민주화와 복지 역시 청년문제와 따로 떨어져 이야기할 수 없다. 청년들이 일자리가 없거나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전세조차 못 얻어서 하우스푸어도 아닌, ‘하우스리스 푸어’가 되는 상황에서 경제민주화와 복지는 실현되기 힘들 것이다.

또한 등록금, 주거등의 문제가 해결이 안 되면 결국 부모 세대가 사회적 부담을 떠안게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박근혜 후보는 청년 문제는 청년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대, 전 국민의 문제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청년 문제 해소가 국가의 중대한 과제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 말로만 ‘청년문제 해결’을 이야기 할 것이 아니라, 청년들이 실제로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 알기 위해, 그들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먼저다.

그는 지금까지 말을 아낀만큼, 듣지도 않았다. 박근혜 후보는 지금부터라도 청년들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이나 국가 비전을 세우는데도 청년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심각한 청년 문제를 겪고 있는 2030들은 그들의 불만과 성토에 귀 기울이며, 청년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줄 대통령을 원하고 있다. 박근혜 후보가 2030이 원하는 대통령상이 될 수 있을지 지켜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