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시 정책이 실종된 선거다. 후보들의 정책 공약이 없는 것도 아닌데, 정책 경쟁을 하기보다는 외부적인 요소에 기대어 선거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정치공학적인 부분인 ‘단일화’에 정치권과 미디어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을 볼 때, 앞으로 제대로 된 정책전이 펼쳐질 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

박근혜·문재인·안철수 세 명의 정책 공약이 상당히 유사한 점이 많아서, 정책만으로 차별화시키기 힘든 점도 문제다. 세부적인 부분에서 다르지만, 큰 틀은 비슷하다. 경제민주화, 반값등록금, 복지 증가, 정치 개혁, 남북문제 등에 대해서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으며, 정도와 방법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차별화를 하기 위해선 정책 공약에 대한 실현 의지가 드러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안을 만들어서 어필하는 것밖에는 방법이 없다. 그러나 세 후보 전부 자신들의 정책 공약을,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게 만들려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 중부광역신문


유권자들은 답답하다. 후보들의 정책을 봐도 정부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예산을 어떻게 쓸 것인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정 후보를 찍었을 때, 사회의 어떤 측면이 더욱 발전할 것이며, 내 삶에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인지 전혀 예상할 수가 없다. 또한 정책전이 없으니 어떤 후보가 어디에 예산을 중점적으로 투자할 것이며, 전임 대통령에 비해 어떤 점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도 충분히 유권자에게 설명이 되지 못했다. 지금과 같이 단순히 정책 공약만 나열해 놓은 상황에서, 유권자들이 새 대통령의 정책을 통해 자신의 삶이 더 나아질 수도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을까?

앞으로 남은 26일 동안이라도 대선 후보들은 유권자들에게 더 다가가야 한다. 민생탐방, 민생체험을 하라는 것이 아니라, 유권자들의 가슴에 와 닿는 구체적 정책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지금처럼 정책을 간단한 메시지처럼 전달하면 안 된다. 하나의 공약이라도 실제로 예산을 얼마나 투자할 것이며, 그 예산을 어디에서 끌어올 것인지, 또 구체적으로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도 면밀하게 분석해서 유권자들에게 보여줘야 한다. 막연한 희망이 아닌, 구체적인 희망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