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전환으로 논란이 있었던 인천대가 또 한 번 화두에 올랐다. 지난 20일 인천대가 “교수 정년을 현행 만 65세에서 70세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에 덧붙인 말은 “탁월한 업적과 성과를 낸 교수의 경우에 한해 심사를 거쳐 근무기간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미 인천대는 타 대학에 비해 교수 평균 연령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년 연장을 하겠다는 것은 탐탁지 않은 소식일 뿐이다. 인천대가 ‘서울대의 정관’을 언급하며 정년 연장을 합리화 하는 것 역시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게다가 교수의 ‘탁월한 업적과 성과’라니, 과연 이 기준은 무엇일까. 정년 연장의 이유가 교수의 학문적 성과를 공유하기 위함이라면,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인천대는 계속해서 비판받을 수밖에 없다. 이미 일각에서는 “인천대의 꼼수가 아니냐.”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의 의도가 어떠하든 그저 학교측이 마련한 ‘안전장치’로 밖에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보통 ‘정년 연장’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일이다. 그러나 인천대의 경우는 다르다. 교수의 정년은 다른 직업에 비해 긴 편일뿐더러, 요즘 시간강사는 물론 젊은 교수들도 설 자리가 없는 추세다. 보다 많은 이들에게 강의할 수 있는 자리를 내어주고,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앞으로 인천대의 행방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더 이상 논란의 대상으로 언급되지 않길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