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경영인(CEO)이 경영을 맡는 미국‧유럽 대기업들과 달리 한국 재벌 기업들은 기업의 창립자나 그들의 후손이 의사결정권을 가진다. 거기에 따른 오너리더십(은 한국 재벌 기업들의 성공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오너 경영의 가장 큰 장점은 권한 집중으로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소유주와 경영자가 같은 사람인만큼 더 큰 책임의식을 지닌다는 것, 눈앞의 성과에 치중하는 전문경영인과 달리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것도 오너 경영의 장점들이다.

문제는 독단적 경영이 견제되지 못함에 따라 경영권 남용과 사익추구 행위 등 오너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경영의 투명성도 확보되지 못한다. 주주총회나 사장단 회의 등이 요식행위에 불과한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절대권력자는 2인자나 견제 기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가장 큰 문제가 발생하는 건 오너가 능력이 없을 때다. 해당 기업이 손해를 입는 데서 그치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회사의 임‧직원은 물론 국가와 국민까지 피해를 떠안아야 한다.

수석대변인으로 선임된 윤창중 전 칼럼세상 대표. ⓒ 연합뉴스

 

박근혜 당선인의 인사 결정을 지켜보면서 드는 우려도 여기에서 나오는 것이다. 이정현 새누리당 공보단장도 윤창중 수석대변인 선임과 관련된 기자회견에서 밝혔다시피 대변인단과 비서실장 등의 선임이 모두 당선인의 독단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선거기간 동안 자신을 보좌했던 측근들, 새누리당 고위 당직자와의 협의도 없었다는 얘기다. 당선인이 인사 결정 과정에서 보이는 리더십에서 오너경영이 연상되는 이유다. 당선인이 2인자를 곁에 두지 않는다는 평가도 이를 뒷받침한다.

국가는 기업이 아니다. 또한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은 오너리더십의 단점도 그대로 안고 갈 수밖에 없다. 당선인의 눈엔 적임자로 보여도 국민의 눈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한 사람이 접하고 기억하는 정보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상쇄해 적절한 인물을 추천하는 게 보좌진의 역할이다. 벌써부터 이런저런 비판이 나오는 건 그렇게 하고 있지 못하다는 방증이나 다름없다. 특히 ‘정치적 창녀’ 운운했지만 자기자신부터 폴리널리스트 행적을 보여 온 윤창중 전 칼럼세상 대표를 수석대변인으로 선임한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실수다.

당선인이 기억해야 할 건 대통합을 저해할 ‘폭탄’의 피해가 국민들에게 갈 거라는 점이다. 국가대통합을 이루는 게 아니라 산산조각나 갈등이 야기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당선인이 곁에 폭발물식별반을 둬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만에 하나라도 당선인의 결정에 실수가 있을 때 이로 인해 생기는 문제의 규모는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다. 기업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외이사와 주주들의 견제를 받는 것과 같이 당선인도 당과 측근들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또한 대통령의 능력이며 국정운영에서 가질 수 있는 묘(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