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혼자 밥 먹기 레벨'



1
처음 대학교에 입학할 무렵, 어쩌다가 ‘아웃사이더’가 되어 혼자 밥을 먹어야 했다. 동기들이 학교 근처 맛집으로 자기들끼리 가는 모습을 멍하니 바라보면서 홀로 학생식당으로 들어갔다. 예전에도 몇 번 혼자 먹어본 적은 있었지만, 그때마다 항상 나에게로 집중되는 것만 같은 주위의 시선을 견디지 못해 늘 먹는 둥 마는 둥 했다. 그날도 마찬가지였다. 북적이는 학생식당은 혼자 밥 먹기엔 가혹한 환경이었다. 괜히 신경이 쓰였다. 
 
복학하고 나서도 마찬가지였다. 동기들과 시간표를 맞출 수가 없어 혼자 먹게 되었다. 나이가 들면 주위 시선에 둔감해질 줄 알았는데 별로 그렇지도 않았다. 절로 밥 먹는 속도가 빨라졌다. 그러다가 나처럼 혼자 밥을 먹는 남자를 발견하면 마음이 다소 놓이곤 했다. 그런데 때로는 그 앞에 다소곳한 여자 한 명이 앉아 남자와 재잘재잘 얘기를 나누었다. 그럴 때면 나는 다시 고개를 숙이고 애써 밥 먹는 데 신경을 집중했다.
 
그러던 내가 혼자 밥 먹는 게 편해졌다. 같이 밥 먹을 사람들을 구해 간혹 같이 식사하기도 했지만, 언제부턴가 혼자 밥을 먹는 게 사람들과 같이 먹을 때보다 더욱 편해졌다. 가족들이나 중, 고등학교 시절 친한 친구들이랑 밥을 먹어도 불편함은 느껴졌다.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방법은 혼자 밥을 먹는 거였다. 그 시간만큼은 누구도 나를 방해할 수 없었고, 아무도 나에게 말을 거는 사람이 없으니 혼자 사색에 잠길 수도 있었다. 나에겐 그 시간이 매우 소중한 시간이 되었다.



2  
혼자 밥을 먹다 보면 사람들과 같이 먹을 때 할 수 없는 여러 가지를 할 수 있다. 우선 유달리 집중이 잘 된다. 책도 잘 읽히고, 평소에는 진척되지 않던 생각도 혼자 밥을 먹다 보면 어느새 조금씩 풀린다. 이유는 잘 모르겠다. 분명한 건, 내가 정한 식당에 가서, 내가 좋아하는 메뉴를 시키고, 그것을 천천히 먹으면서 머리를 굴리는 일은 매우 기분 좋은 일이라는 거다. 휴식을 취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가끔 다른 사람과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로 다가올 때가 있다. 할 말을 생각해야 하고, 끊임없이 대화를 이어가야 하는데 너무 버거웠다. 혼자 밥을 먹을 땐 그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생각을 하고 싶을 땐 생각을 하면 되고, 아무 생각 없이 밥을 먹고 싶을 땐 음식에만 집중할 수 있으니까. 
 
요즘 들어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아진 건지, 혼자 먹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났다. 이에 발맞춰강남, 신촌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중심으로 1인 초밥집, 1인 고깃집 등 1인 식당이 하나둘 생기고 있다. 이제 혼자 식사하는 걸 즐기는 사람을 찾기란 아주 어려운 일은 아니게 되었다.


신촌에 있는 1인 일식집. ⓒ서울신문


 
학생식당, 중국집, 분식집, 패스트푸드, 패밀리레스토랑 등 곳곳에서 혼자 밥을 먹으며 느낀 점은 은근히 혼자 식사하는 사람이 많다는 거였다. 그들은 주로 구석에 앉아 고개를 살짝 숙인 채, 먹고 있는 음식 혹은 책, 스마트폰, PMP 등에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 귀에 이어폰을 낀 사람도 많았다. 그렇게 조용히 밥을 먹다가, 그릇을 비우기 무섭게 자리에서 일어나 계산을 하고 나간다. 혼자 먹는 사람들은 음식을 대체적으로 빨리 먹었다. 여럿이 먹는 사람들이 재잘재잘 이야기를 나누며 천천히 음식을 먹는 동안 그들은 오롯이 먹는 데 집중하기 때문일 것이다. 어디서든 그런 사람들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혼자 밥 먹는 사람들은 편안함을 누릴 수 없다. 편히 앉아 혼자 느긋하게 밥을 먹는 건 사치라고 여겨질 정도다. 종업원이 묻는다. 몇 분이세요? 1명이요, 혹은 혼자요, 라고 말하는 순간 종업원의 얼굴 표정이 미묘하게 변하는 것 같다. 아, 이쪽으로 앉으세요. 라면서 자리를 권하는 종업원. 비칠비칠 자리에 가서 앉으면 그때부턴 같이 밥을 먹고 있는 다른 손님들이 연신 곁눈질을 한다. 암묵적인 의문표시다. 왜 쟤는 혼자 밥을 먹을까. 같이 먹을 사람이 없는 걸까. 여기에 더해 가끔 사람이 많을 때면 종업원들까지 눈치를 준다. 혼자서 자리 차지하지 말고 빨리 먹고 꺼져. 이런 무언의 말을 하는 것 같다. 전부 상상일지도 모른다. 혼자 밥을 먹는 사람들의 괜한 자격지심일 수도 있다. 그런데 왜 그런 상상을 하게 되는 걸까. 불편하기 짝이 없는, 소화불량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상인데.
 
사실 나 역시 혼자 밥을 먹는 게 아주 편안하진 않다. 예컨대 사람들은 전부 다 같이 먹는데 나만 혼자 먹고 있을 때라든가, 식사 시간이라 식당에 사람이 많을 때는 아무래도 부담스럽다. 그래서 식당으로 들어가기 전에 안을 슬쩍 훑어본 다음, 적당하다 싶을 때에만 들어가곤 한다. 그래야 편안한 식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1인 식당에 가면 되지 않냐고? 아직 1인 식당의 수는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한 사이트의 조사에 의하면, 한국 대학생들이 혼자서는 할 수 없는 행동 1순위로 꼽은 게  ‘고깃집에 가서 고기 구워먹기’라고 한다. 전체 응답자의 25%였다. ‘혼자 밥 먹기’를 꼽은 사람도 11.9%나 됐다. 많은 설문조사자들이 혼자 밥 먹기를 ‘도저히 못할 행동’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3
윤고은의 소설 <1인용 식탁>에는 늘 혼자 밥을 먹는 직장인이 나온다. 동료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그에게 혼자 밥 먹기는 일상이었다. 도무지 그 일상에 익숙해질 수 없었던 그는 결국 ‘혼자 밥 먹기’를 가르치는 학원에 등록한다. 학원에 첫 발을 내디딘 그는 깜짝 놀란다. 생각보다 학원에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총 5단계에 걸친 ‘혼자 밥 먹기’교육을 받으면서, 그녀는 이제 어디서든 혼자 밥을 먹을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다. 아니, 이제 혼자 밥 먹는 걸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것은 단순히 교육을 받았기 때문은 아니었다. 자신과 같은 사람이 많다는 데에서 오는 위안 덕분이었다. 
 
윤고은의 소설은 혼자 밥을 먹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자의든 타의든 간에,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밥을 혼자 먹고 있다. 현대인들의 여유시간이 줄어들고 인간관계가 파편화되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강해졌다. 그러나 우리 사회엔 ‘혼자 밥 먹기’를 가르치는 학원은 없다. 여전히 혼자 밥 먹는 건 참으로 어려운 일인데도 말이다. 어찌 보면 <1인용 식탁>의 주인공은 참으로 운이 좋은 사람일 수도 있다. 학원을 다님으로써 홀로 식사하는 것에 대한 용기를 얻고, 마음을 고쳐 먹기까지 했으니까. 반면에 이 시대를 살고 있는 대부분의 운이 없는 사람들은 혼자 밥을 먹으면서 공포에 떤다. 내가 주목받으면 어떡하지? 누가 날 비웃으면 어떡하지? 이건 나처럼 혼자 밥을 먹고 싶어서 먹든, 어쩔 수 없이 혼자 먹든 간에 마찬가지다. 혼자 먹는 데 익숙해진다고 해도 그런 생각을 아주 떨쳐내지는 못한다. 그래서가끔 억울하기도 하다. 내가 내 돈 내고 혼자 먹는다는데, 왜 온갖 눈치를 다 봐야 하지?
 
최근 들어 집밥, 런치 위드 미 등 같이 점심이나 저녁을 먹는 소셜다이닝 모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 관심사를 공유하는, 그러나 이전에 서로 알지 못했던 사람들끼리 모여 한 끼의 식사를 하는 자리다. 본래 혼자여야 했던 사람들이 서로 모임으로써 ‘같이’가 되었다. 식사를 같이 한 뒤에 계속 연락을 주고받든 주고받지 않든 간에 아무튼 그 순간에는 적어도 혼자가 아니다. 그런데 이들이 왜 굳이 어떤 수단을 통해 모여서 같이 밥을 먹느냐고 물으면, 결국 혼자 밥을 먹기가 그만큼 힘들기 때문일 수 있다. 혼자 밥을 먹자니 눈치가 보이고 외롭기도 하니, 차선책으로 소셜다이닝을 선택한 셈이다. 소셜다이닝은 한국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꽤나 많이 알려져 있다. 이미 한국이 소셜다이닝이 정착할 조건을 갖췄기 때문이다. 어쩌면 한국은 전세계에서 소셜다이닝이 안착하기에 가장 좋은 국가인지도 모른다. 마음대로 혼자 먹기 참 까다로운 나라니까.
 
얼마 전 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의 수가 4인 가구 수에 육박했다고 한다. 핵가족화가 더욱 극단화되면서 ‘전통적 핵가족’의 상징인 4인 가구 수마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혼자 살고 있는 이들을 겨냥한 ‘솔로 마케팅’이 마케팅업계에서는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솔로 이코노미’라는 개념도 생겼다. 기존의 다인(多人) 가구와는 전혀 다른 라이프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나홀로 가구들과 관련된 개념으로, 원룸촌 근처 마트에서 흔히 파는 1인용 채소가 그 대표적인 예다. 한국 사회도 ‘혼자’를 더 이상 무시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혼자 밥 먹기를 여전히 낯설어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