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의 기쁨이 채 가시지도 않은 1945년 8월 22일, 일본 오미나토 항구에서 4730톤의 ‘우키시마호’가 부산으로 출항한다. 일본에 강제로 징용됐던 조선인 노동자를 태운 귀국선이었다. 우키시마호에 타지 않으면 영원히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한다는 선전물이 나돌았고, 4천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귀국선은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조선인들의 열망으로 7천여 명이 넘는 인원을 수용한 채 바닷길을 나선다.

일본 마이즈루항 해안 우키시마호 희생자 추모 동상. ⓒ 부산일보

배가 출항한지 이틀 후인 8월 24일, 우키시마호는 '돌아오지 못한 비극의 귀국선'이 되었다. 교토부 부근 마이즈루만 해상에서 갑작스런 폭발음과 함께 침몰했기 때문이다. '떠 있는 섬 같은 배'라는 뜻의 귀국선 '우키시마호'에 탑승한 조선인 노동자들은 그토록 그리던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마이즈루만에 수몰됐다.

사건 당시 일본은 우키시마호에 타고 있던 한국인 3725명 중 524명이 사망했고, 일본 해군 승무원 255명 중 25명이 사망했다는 발표와 함께 미국이 깔아놓은 기뢰에 부딪혀 배가 폭발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당시 미국에 의한 기뢰는 모두 제거된 상태였고, 부산으로 가는 마이즈루만 루트는 안전한 항로였다. 게다가 함께 승선했던 일본 승무원 230여명은 배가 폭발하기 직전 보트를 통해 배를 탈출했다는 주장과 출발 당시 부산으로 갈 수 있을 만큼의 ‘연료’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증언이 잇따랐다. 사건 발생 5년 후인 1950년, 일본은 우키시마호 인양을 시도하다 돌연 중단했고, 이 후 사건에 대해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 사이 우키시마호 사건 피해자 유족들의 일본을 향한 싸움이 계속되고 있다. 유족들은 지난 1975년과 1992년, 두 차례 일본 법원에 국가의 배상청구 소송을 제소했다. 법원은 2001년 위로금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렸지만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 요청은 기각했다. 그러나 이 판결마저도 2003년 번복되어 원소패소판결을 받음으로써 위로금 지급마저 이뤄지지 않았다.

한국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 또한 이러한 결정을 부추겼다. 오마이뉴스에 따르면 외교통상부가 오키시마호 사건을 한일협정을 통해 피해보상 청구권이 소멸된 다른 피해 사례와는 다르다는 점을 인정하고 10년 가까이 진상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정확한 희생자 숫자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사건 피해 68주기가 되었지만 오키시마호 사건은 언론의 주목은 물론, 국민들의 관심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2012년 유족들의 유해 발굴 시도를 통해 우키시마호 사건은 다시 수면위로 떠올랐다. 그러나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건의 진상 규명을 위한 어떤 노력도 시도되고 있지 않다. 벅찬 마음으로 귀국선에 올랐을 조선인 노동자들의 육신은 여전히 타지 어딘가에 모래로 뒤덮여 유해 발굴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광복 68주년과 동시에 사건 피해 68주기를 맞이하는 2013년 8월, 어디에 묻힌지조차 알 수 없는 이들의 원혼을 달래기 위한 위령제가 언론과 정부, 그리고 국민들의 무관심 속에서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