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크넷

오늘은 저축의 날이다. ‘국민의 저축 정신을 양양하고 저축·보험·금융 산업의 진흥’을 위해 기념일로 제정된 저축의 날은 올해로 무려 50주년을 맞았다. 하지만 ‘국가의 경제발전에 국민들이 저축을 통해 이바지’ 하도록 제정한 기념일이 50년의 세월을 지나는 동안, 젊은 20대들의 통장에는 50만원은커녕 5만원의 돈을 저축하기도 빠듯하다. 현실 속 젊은이들은 고금리 '저축'이 아니라 고금리 '대출'을 족쇄로 차고 있다. 이런 사정을 아는지 모르는지, 은행들은 저축의 날을 위한답시고 각종 특별적금 상품을 홍보하고 있다.
 
저축의 날을 정부가 직접 기념일로 지시한 것은 1964년의 일이다. 국가경제의 발전하면 빠지지 않는 그분,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은 저축의 날의 지정에도 긴밀하게 관여했었다. 저축의 날은 본래 9월 25일이었다. 그 이유는 박정희 대통령이 ‘매월 25일을 저축일로 지정하라’는 친서를 보낸 날이 9월 25일이었다는 이유에서였다. 박정희 정부는 국민들에게 저축을 장려했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저축은 국민의 의무이자, 가족의 덕목이었다. 당시 제작된 홍보물들에는 저축에 대한 다양한 미담들이 담겨있다. 가령, ‘내 집 위해 저축. 나라 위해 저축’과 같은.
 
하지만 정확히 50년이 지난 지금, 가정에 한 마리씩 있던 붉은색의 돼지들은 골골 되고 있거나 이미 도축됐다. 저축은 이제 국민의 의무일 수 없고, 가족의 덕목일 수도 없다. 이유는 너무나 단순하다. 저축할 돈이 없기 때문이다. 속된 말로, 월급은 통장에 ‘로그인’하자마자, 인출할 틈조차 주지 않고 ‘로그아웃’해버린다. 한 달간 월급날을 바라보고 쑤셔가는 삭신을 직접 주물러 가며 일을 해봤자, 월급은 애초에 내 손에 들어올 예정이 없었다는 듯이 증발해버린다. 이즈음 되면 저축은 공상과학소설의 주인공 이름이거나 박물관에서 만날 수 있는 역사 속의 유물과도 같은 느낌이다.
 
국민경제에서 저축이란 소득에서 미래를 대비하여 쓰지 않고 남긴 부분을 말한다고 한다. 지금 우리가 저축할 수 없다는 것은, 대부분 가정과 젊은이들이 ‘미래’를 생각할 수도 없고, 더욱이 ‘대비’하는 것은 요원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그런데 각종 경제신문이나 정부에서는 저축의 의미에 대해서나 갑론을박을 하고 있다. 저축이 경제의 이바지 한다느니, 지금은 저축보다는 소비의 미덕을 강조해야 한다느니 하는 진부한 소리 말이다. 그런 고리타분한 이야기를 주고받기 이전에, 저축이든 소비든 할 수 있게끔 만드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