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새학기, 각종모임과 같은 단어가 떠오르는 1학기의 캠퍼스는 활기차고 풋풋한 모습들이 가득하다. 특히 3월 대학교의 모습을 더욱 풋풋하게 만드는 단어는 새내기 일 것이다. 이러한 새내기들에게 중요한 모임인 '대면식'은 1학기 행사에서 중요한 단어 가운데 하나다. ‘2012, 3월 x일 oo과 대면식, 신입생 필히 참석 요망’ 이라는 대면식 포스터가 학과 게시판이나, 홍보게시판에 즐비하다. 신입생과 재학생의 공식적인 첫 자리인 대면식은 대학생활을 시작하는 신입생들에게는 기대가 되고 중요한 자리지만, 오늘날에는 신입생들에게 기대가 되거나, 유익한 행사가 아닌 음주, 얼차려 자리로 인식되고 있다.
'새내기에 술 강요, 숨지게 한 대학생 유죄'(2011. 6. 30, 경향신문), '중부지역 C대학 선∙후배 대면식에서 신입생 소주 10잔 뒤 사망(2010. 5. 6 해럴드뉴스)과 같이 대면식은 과도한 음주문화로 나타나고 있다. 흔히 대면식은 '사발식'이라는 행사로 불리고 있다. 선배들이 커다란 사발에 막걸리 혹은 소주를 가득 채워 신입생들에게 마시게 한다. 심한경우에는 이물질이나 또 다른 술을 섞기도 한다. 만약 술을 다 마시지 못하면 “선배를 무시 하냐?”, “신입생 군기가 빠졌네.”라고 폭언을 하기도 한다.
( 2011. 7. 6, 시사저널, 신입생 사발식을 벌인 자리에 놓인 술병들
음주문화뿐만 아니라 남자가 많은 공대, 체대의 경우에는 대면식이라는 이름아래 신입생들의 군기를 잡기 위해 군대식 얼차려가 행해지고 있다. 갓 제대한 복학생들이 군대에서의 권위주의 환상에 잡혀 군대식 유격훈련, 앉았다 일어났다, 선착순 달리기를 행하고 있다. 이러한 얼차려를 통해서 선배들은 신입생들이 선배를 무시하지 못하게 확실히 군기를 잡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학과에 대한 애착이 생긴다고 말한다. 하지만 신입생들의 생각은 다르다. 이러한 대학문화에 실망을 하고 선배들에 대한 존경의 마음은 사라지고, 오히려 과 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생긴다.
(2012, 3. 26, 충대신문, 공과대 착복식 현장)
대면식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얼굴을 모르는 사람끼리 서로 얼굴을 마주보고 대하는 공식적인 의식으로 이를 통해 자신이 속한 그룹에 대한 긍지와 소속감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신입생들에게 어색한 대면식의 자리를 부드럽게 하기위해 약간의 음주는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후배들에게 학과에 대한 규칙과 선배에 대한 예의를 알려 줄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의 대면식 문화는 본말전도가 되어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대면식 문화를 바꿔야 한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러분 신고하시면 안돼요” 우리는 불법으로 배운다 (0) | 2012.05.07 |
---|---|
대학가에서 맴도는 ‘헬리콥터 맘’ (1) | 2012.05.02 |
대학교 대형 강의, 교육의 질 떨어뜨려 (0) | 2012.04.27 |
대학가의 구석구석 '과팅'을 아시나요? (1) | 2012.04.26 |
등록금, 얼마나 사용하고 계신가요? (0) | 2012.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