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 전날 10대 여 재수생 투신자살”  이는 어쩌면 개인의 문제다.


12만 7635명 (2014 대학수학능력시험 재수생 이상 지원자 수) 이는 1년 이상을 ‘뒤처진’ 13만 명의 문제다.


2013 전국 대학진학률 70.7% 아니, 대학에 들어가지 않은 29.3%의 문제다.


국립서울대학교 입학 정원 3096명 국립서울대학교 입학 정원을 제외한 나머지의 문제다.


국립서울대학교 2012년 의과대학 정원 95명 이는 의사로서의 앞길이 창창한 95명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의 문제다. 


어쩌면 이는 우리 모두의 문제다. 


“대학에 들어가지도 않은 사람이 왜 학벌주의를 이야기해?” 혹은 “네가 공부 못해서 서울대 못 간 걸 왜 사회 탓을 해?”라는 말을 반박할 겨를도 없이, 대한민국의 학벌주의는 빠른 속도로 폐허를 향해 달리고 있다. 승자는 자신보다 더 높이 있는 다른 승자를 찾아내고, 그 순간 패자가 돼버리는 한편, '학벌주의'라는 사상을 내면화한다. 당신은 절대적 승자인가?


고함20에서는 양반과 상놈이 쓰던 갓처럼 가시적으로 서열화 된 대학잠바(일명 ‘과잠’), 명문대생만 할 수 있다던 과외 아르바이트, 한국 교육의 ‘최고 선(善)’이라는 국립서울대학교, 대학생이 아닌 20대의 학벌주의로 나눠 2000년 초중반 활발히 이야기됐던 학벌 사회라는 담론을 넘어 2013년의 학벌주의를 재조명한다. ‘어쩔 수 없다’면 그 ‘어쩔 수 없는 것’에 대해 말을 하기 위해서. 


서울대학교 홈페이지의 그 유명한 '샤'.


‘서울대 공화국.’

이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사실 이 단어는 논리적으로 옳지 않다. ‘공화국’이란 ‘전제정’의 반대, 즉 다수의 인민에 의해 통치되는 국가를 뜻하기 때문이다. 올바른 말은 아마도 ‘서울대 제국’일 것이다. 모든 길은 서울대로 통하며, 만인의 만인에 대한 학벌투쟁은 궁극의 지향점을 서울대로 둔다.

대한민국의 학벌주의를 논할 때 결코 제외할 수 없는, 절대적 ‘황제’로 군림하는 세 글자는 단연코 서울대다. 이제 ‘서울대’라는 빗물리적 실체는 각종 고시 합격생 비율, 대기업 간부, 정치권 주요 인사와 같은 사회적, 물질적인 권력 독식을 넘어섰다. 강준만 전북대 교수가 <서울대의 나라>에서 밝혔듯, 서울대는 이제 일종의 이데올로기로 기능한다. 매년 4천 여 명의 서울대 합격생들에게는 명예와 성공을 향한 열쇠가 쥐어지고, 간택되지 못한 나머지 수십 만 명은 바늘구멍을 통과하지 못한 ‘죄’로 각종 트라우마에 시달리며 씁쓸한 입학식을 치러야 한다는 관념 말이다.

그러나 어디서나 칭송받는 서울대생의 머릿속에는 과연 찬란한 미래상만 펼쳐져 있는가? 일상의 면면에 침투한 서울대 찬양주의는 패배의식을 일상화시키며, 이는 서울대생들에게도 예외가 아니다. 학벌주의가 내재화된 사회에서 “최고가 되면 승리한다”는 도식은 철저히 붕괴된다.

비교 경쟁에는 도무지 끝이 보이지 않는다.


서울대 종교학과에 재학 중인 A씨(21)는 수도권 공립학교에서 서울대 특성화 수시전형인 지역균형 전형으로 입학했다. 그녀의 수험 생활은 ‘비교우위’의 반복이었다. 각 학교마다 지역균형 전형에 지원할 수 있는 학생은 문과 1명, 이과 1명이었고, 1학년 때부터 촉망받는 ‘미래 서울대인’이던 A씨의 친구는 선생님들의 비호를 받아 각종 대외행사에 학교 대표로 참가했다. 그러나 2학년 겨울방학을 지나고 나서 친구의 성적이 원인 모를 하강세를 타면서 A씨의 등수가 1로 바뀌자, 담임선생님은 “준비해라”는 말과 함께 스펙을 쌓을 수 있는 각종 기회를 A씨에게 넘겨줬다. A씨가 ‘싹쓸이’의 수혜자가 된 것이다.

“학생들 사이에선 ‘지균 받는다’고 표현한다. 선생님들로부터 내림받는다는 얘기다. 학교 이름이 걸린 일이라 학생은 묵묵히 따르는 수밖에 없다. 서울대 합격생 수를 늘리기 위해 붙을 확률이 가장 높은 학과를 쓰라고 강요하는 선생님과 갈등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선생님들의 ‘몰아주기’ 때문에 쏟아지던 다른 친구들의 불편한 시선은 그나마 견딜 만했지만, 비교적 친하던 A씨와 그 친구 사이마저 미묘해지고 말았다. 결국 친구는 재수해서 서울 소재 모 대학에 입학했다. 대학 생활이 시작되고 나서는 아예 연락이 끊겼다.

대전의 사립학교에서 지역균형 전형으로 입학한 B씨(21)는 수시 콤플렉스를 털어놨다. ‘정시부심(정시 자부심의 줄인말)’은 수시, 특히 지역균형 전형의 경우 수능 최저요건이 정시보다 낮기 때문에 정시로 합격한 서울대생이 수시합격생의 수준을 무시하는 태도다. “심지어 ‘지균충’이라는 말도 들었어요. 지균생은 해충이라고.” B씨는 졸업 시점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지균 전형으로 합격한 학생들의 학점이 더 높다며, “허세도 부릴 만한 사람이 부려야지......”라고 말했다. 누군가는 고등학교 당시 알아주던 자신의 내신 성적을 회고하며 자괴감에 빠지고, 누군가는 서울대라는 타이틀을 달고도 학점 쟁취에 성공해 또 다른 성공 신화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대학 합격 이후에도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성적 경쟁과 그에 따른 승패가 모두가 인정하는 판단 기준이기 때문이다. 성적 편차와 학과 간 비교는 교내 커뮤니티 ‘스누라이프(SNUlife)’에서 더욱 극화된다.

강원도 삼척의 모교가 배출한 유일한 서울대생 C씨(동양사학과, 22)는 새내기 시절을 회고하며, 지방의 ‘후진’ 고등학교라 서울대 선배가 아무도 없는 자신과 달리 외고나 지방의 유명 사립고에서 온 동기들은 대학 생활에 너무도 잘 적응했다고 말했다. 생활 정보에 도움을 얻는 것은 물론, 낯선 공간에서 인맥을 손쉽게 확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우절이나 교복 데이에 고등학교 교복을 입은 채 여럿이서 몰려다니는 학생들은 반드시 특목고 학생들이다. 지역과 고등학교 학벌로 인한 ‘예정된 빈부’가 여과 없이 드러나는 순간이다. 서울대라는 울타리 안에 들어가는 순간 아름다운 유토피아가 펼쳐질 것이라며 동경하는 사람들에게 이들의 소외감은 쉬이 보이지 않는다. 2013년 정시모집에서 일반고(자사고) 출신 합격자 비중은 작년보다 낮아진 반면 외국어고, 국제고, 과학고 등 특목고 출신 비율은 더 올랐다. 뛰는 고등학교 학벌 위에 나는 대학교 학벌 있으니, 이 또한 충분히 예상 가능한 결과다.

내부의 파벌주의와 서열화로부터 고개를 돌리면, 외부에서 만들어지는 서울대 찬양주의가 보인다. 처음 만난 사람과의 관계에서 서울대생으로서의 정체성은 여타 특성을 압도한다. A씨와 B씨는 다른 학교 남학생과의 소개팅은 한 번도 해보지 않았다고 말했는데, 남자들이 서울대 다니는 여자를 보면 주눅 들기 때문일 것이라는 게 이유였다. 아무래도 남자는 본인이 우월하기를 바라나, 자신보다 학벌이 높은 여자는 부담스러워 기피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A씨는 자신이 아는 선배 및 지인들 중 학부 때 만나 결혼한 이들은 거의 모두 서울대생끼리 커플(CC)이었다고 말했다. 
 

결혼정보회사의 남성 등급표. 학벌은 재산, 외모와 어우러져 점수의 3요소를 구성한다.



‘서울대생’이라는 이름표가 노출되는 순간, 한 사람의 정체성은 급격히 일원화된다. 동네 미용실에서, 아르바이트 작업장에서, 연합동아리 엠티에서, 재수학원 친구들과의 술자리에서, 서울대생은 “대학이 어디야?”라는 질문에 무의식적인 자기 검열을 거친다. 소속 대학을 말하는 순간 어떤 힘든 일도 해낼 수 있는 천하무적처럼 바라보거나 “역시 서울대!”라며 무엇이든 옳은 말만 하는 사람으로 인식되는 것은 물론이고, ‘서울대느님(‘하느님’과의 합성어로 서울대생을 절대시할 때 사용되는 단어)‘이라며 숭배하는 척 비꼬는 이들도 더러 있다.

물리교육과 E씨는 등 뒤에서 누군가 “쟤 서울대 잠바 입었어. 자랑하고 싶었나봐.”라는 말을 들은 뒤 학과 잠바를 거의 입고 다니지 않는다. 
조선해양공학과 08학번 D씨는 “친하지 않은 사람들이 나에 대해 아는 것이라곤 서울대생이라는 것밖에 없기에 괜히 할 말이 없어 추켜 세워준다고 생각한다. 그때마다 불편해서 서울대 다닌다고 말을 안 한다.”라고 말했다. 서울대 나와서 능력 없다는 말을 들을까봐 두렵다는 학생들에게 “그래도 넌 서울대니까” 라는 시선은 폭력이다.

학벌 타이틀은 비서울대생에게는 왜곡과 분리, 배척의 대상으로, 서울대생에게는 자부심과 자괴감이라는 묘한 아이러니로 공고해진다. 이미 ‘서울대’라는 기득권을 쥐고 있기에, 서울대생들은 온갖 시선 공포증으로 괴로울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들은 자연스럽게 ‘밑(하위) 대학’이나 ‘독점적 특혜를 받을 만하게 혼자서 공부를 열심히 했다‘는 말을 하는 등 모순적인 모습을 보였다. 결국 학벌주의 하에 포획된 모든 사람은 심리적으로 위축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못난’ 이들을 ‘내려다보며’ 왜곡된 우월감에 도취된다. 학벌주의에 대한 예속 상태가 유지되는 한, 대상 없는 분노와 불안감은 축적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