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 전날 10대 여 재수생 투신자살”  이는 어쩌면 개인의 문제다.

12만 7635명 (2014 대학수학능력시험 재수생 이상 지원자 수) 이는 1년 이상을 ‘뒤처진’ 13만 명의 문제다.

2013 전국 대학진학률 70.7% 아니, 대학에 들어가지 않은 29.3%의 문제다.

국립서울대학교 입학 정원 3096명 국립서울대학교 입학 정원을 제외한 나머지의 문제다.

국립서울대학교 2012년 의과대학 정원 95명 이는 의사로서의 앞길이 창창한 95명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의 문제다. 

어쩌면 이는 우리 모두의 문제다. 

“대학에 들어가지도 않은 사람이 왜 학벌주의를 이야기해?” 혹은 “네가 공부 못해서 서울대 못 간 걸 왜 사회 탓을 해?”라는 말을 반박할 겨를도 없이, 대한민국의 학벌주의는 빠른 속도로 폐허를 향해 달리고 있다. 승자는 자신보다 더 높이 있는 다른 승자를 찾아내고, 그 순간 패자가 돼버리는 한편, '학벌주의'라는 사상을 내면화한다. 당신은 절대적 승자인가?

고함20에서는 양반과 상놈이 쓰던 갓처럼 가시적으로 서열화 된 대학잠바(일명 ‘과잠’), 명문대생만 할 수 있다던 과외 아르바이트, 한국 교육의 ‘최고 선(善)’이라는 국립서울대학교, 대학생이 아닌 20대의 학벌주의로 나눠 2000년 초중반 활발히 이야기됐던 학벌 사회라는 담론을 넘어 2013년의 학벌주의를 재조명한다. ‘어쩔 수 없다’면 그 ‘어쩔 수 없는 것’에 대해 말을 하기 위해서. 


용태는 우연히 고등학교 동창인 정현이를 만났다. 반가운 마음에 용태는 정현이를 끌고 카페로 들어갔다. 용태가 물었다. “너 학교 어디냐?” 말하기 어려워하는 정현이를 보고 용태는 아차 싶었다. 몇 마디 어색한 대화가 오갔다. 냉랭해지는 분위기 속에서 정현이가 먼저 입을 열었다. “나 먼저 일어날게. 약속이 있어서.” 정현이는 잠시 용태를 바라보다가 자리에서 일어났다. 용태는 혼자 남아서 식은 커피를 마셨다.

“어느 학교 다니세요?” 번역하자면, ‘명함 좀 주세요’ 정도가 되지 않을까. 이십대에겐 만나서 반갑다는 첫인사와도 같은 말이다. 그리고 오랜만에 만난 친구끼리는 참 애매하고 ‘뻘쭘’한 인사가 되기도 한다. 별 의미 없이, 혹은 근황에 대한 질문일 뿐이라도 상대의 반응에 따라 분위기가 어색하게 변할 수도 있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끼리 ‘어느 학교’를 다니느냐는 질문은 묻기에도, 그냥 모르고 넘어가기에도 ‘좀 그런’ 인사말이다.

비대학생인 20대에게 대학에 대한 질문은 박탈감을 느끼게 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장 취업전선에 뛰어든 한병훈(27)씨는 20대를 경험하지 못한 것처럼 아쉬움을 느낀다고 했다. “별로 대학을 가고 싶지 않았어요. 그런데 주변의 대학생들을 보면 왠지 소외감이 느껴져요. 제가 다니는 공장으로 아르바이트하러 오는 20대들은 전부 대학생이었는데, 저는 20대가 아닌 것 같은 거예요.” 한씨는 흔히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다 때가 있는 것 같다며 20대에는 대학을 가는 게 옳다고 했다.

ⓒ조선일보


조선일보의 조사에 따르면 올 2월 고등학교를 졸업한 63만여 명 가운데 대학진학자는 44만여 명으로 70.7%이다. 최고치였던 2009년(77.8%) 이후 감소세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OECD회원국 중 가장 높다. 학벌주의는 ‘20대=대학생’이라는 공식을 만들어낸다. 20대의 정체성은 대학생으로 규정되기 때문에 대학생이 아닌 20대는 소외된다. 비대학생들은 결국 20대라는 자신이 속한 세대에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스스로를 20대의 변방으로 밀어낸다. 이런 현상이 비단 비대학생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학벌주의의 공식에는 또 다른 조건이 달리면서 대학생인 20대마저 20대에서 소외시킨다.

서울 소재의 전문대를 졸업한 김기태(25)씨는 주변에서 대학을 물어볼 때마다 불편함을 느꼈다고 했다. “전문대를 다닌다고 무시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왠지 말했을 때 좋은 것 같지는 않아요.” 전문대라는 대답을 들은 상대방의 반응은 보통 다른 주제를 꺼내든지 아니면 전문대의 장점을 늘어놓든지 둘 중 하나다. 김씨는 이런 대화는 어쩔 수 없다고 했다. “전문대를 나오면 사회에서 힘든 것은 사실이잖아요. 가난한 걸 말하면 상대방도 불편한 것처럼 전문대 학력도 빈곤이나 다름없죠.”

전문대가 아닌 4년제 대학을 다니고 있더라도 마찬가지다. 지방의 4년제 대학을 다니는 김민정(26)씨는 누가 다니는 대학을 물어보면 선뜻 말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했다. “서울권 대학과 지방에 있는 대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확실히 다르다”며 지방대학생 상당수가 한 번쯤은 편입을 고민하거나 실제로 준비한다고 말했다. “20대라는 느낌은 있어요. 하지만 같은 20대라도 공부 잘하는 대학교의 학생에 비해 좀 비주류라는 기분이 들어요.” 김씨는 본인조차도 “명문대 학생을 더 좋게 보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대학으로 편입한 이민호(25)씨는 친척들이 대학을 물어보는 것이 싫어서 친척들을 피해 다녔다. 대학에 ‘잘’ 간 사촌들과 있으면 불편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공부를 하면서도 불안감에 쫓겨야 했다. “공부가 기간이 길어지니까 포기하고 싶었어요. 그런데 무서운 건 매몰비용이에요. 그동안 헛짓한 게 되니까.” 하지만 편입에 성공하고도 학기 초를 제외하면 별로 만족스럽지 않았다. “편입만 성공하면 마음이 편할 줄 알았죠. 그런데 여기 와서도 학생들이 불안감을 느끼는 걸 보니까 피로감이 몰려오더라고요.” 이씨는 편입에는 성공했지만 여전히 대학을 묻는 질문에 자랑스럽게 대답하기는 힘들다고 했다. “그 질문에 당당할 수 있는 사람은 SKY(서울대, 연대, 고대) 말고는 없을 것 같네요."

ⓒ경향신문


대학생은 20대의 동의어에 가깝다. 어느 대학을 다니느냐는 질문은 20대의 일상에서 꼬리표처럼 집요하게 따라붙는다. 학벌주의가 만들고 내재한 ‘20대=대학생’이라는 공식은 비대학생뿐만 아니라 대학생들도 스스로를 자신이 속한 세대의 변방으로 느끼게 하고 소외시키게 한다. 더 나은 대학교의 이름을 획득하기 위해 편입을 해도 성공과 실패의 극단 사이에서 오는 불안감을 벗어버리기는 어렵다.

비대학생에서 편입에 성공한 사람까지 모두가 소외감을 느끼고 있지만, 학벌주의에 대해서는 당연하다고 입을 모았다. 미래를 보장받기 위해 노력한 대가로서 정당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누가 그 대가를 받고 있는 것일까. 한 편입생은 SKY로 불리는 최상위 대학교를 이야기했다. 설령 그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굳이 ‘주류’에 편입하지 못한 이들이 20대라는 시절에서 소외될 필요가 있을까.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의 소설 <채털리 부인의 연인>은 이렇게 시작한다. “우리시대는 본질적으로 비극적이어서 우리는 이 시대를 비극적으로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