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 전날 10대 여 재수생 투신자살”  이는 어쩌면 개인의 문제다.

12만 7635명 (2014 대학수학능력시험 재수생 이상 지원자 수) 이는 1년 이상을 ‘뒤처진’ 13만 명의 문제다.

2013 전국 대학진학률 70.7% 아니, 대학에 들어가지 않은 29.3%의 문제다.

국립서울대학교 입학 정원 3096명 국립서울대학교 입학 정원을 제외한 나머지의 문제다.

국립서울대학교 2012년 의과대학 정원 95명 이는 의사로서 앞길이 창창한 95명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의 문제다. 

어쩌면 이는 우리 모두의 문제다. 

“대학에 들어가지도 않은 사람이 왜 학벌주의를 이야기해?” 혹은 “네가 공부 못해서 서울대 못 간 걸 왜 사회 탓을 해?”라는 말을 반박할 겨를도 없이, 대한민국의 학벌주의는 빠른 속도로 폐허를 향해 달리고 있다. 승자는 자신보다 더 높이 있는 다른 승자를 찾아내고, 그 순간 패자가 돼버리는 한편, '학벌주의'라는 사상을 내면화한다. 당신은 절대적 승자인가?

고함20에서는 양반과 상놈이 쓰던 갓처럼 가시적으로 서열화 된 대학잠바(일명 ‘과잠’), 명문대생만 할 수 있다던 과외 아르바이트, 한국 교육의 ‘최고 선(善)’이라는 국립서울대학교, 대학생이 아닌 20대의 학벌주의로 나눠 2000년 초중반 활발히 이야기됐던 학벌 사회라는 담론을 넘어 2013년의 학벌주의를 재조명한다. ‘어쩔 수 없다’면 그 ‘어쩔 수 없는 것’에 대해 말을 하기 위해서. 


2014년 수능시험이 끝났다. 이제 수능 성적이 나오고 원서를 쓰는 일명 ‘원서 철’이 다가오고 있다. ‘수능’이라는 국가적인 시험이 다가오면, 각종 사이트에는 매년 물타기라도 하듯이 학교 서열이나 학교생활에 대한 이야기가 끊이지 않는다. 같은 내용의 글이 제목만 바뀌어 올라오기도 한다. 특히 “학교별 과잠”이라는 제목을 단 글을 유독 자주 볼 수 있다. 게시글 속에서 대학생들의 교복이라고 불리는 과잠은 단순히 겨울에 입기 좋은 외투, 그 이상의 작용을 하는 것처럼 보였다.

미국 아이비리그에서 시작되었다는 '과잠'


인천에 소재 대학의 김지현 씨는, 학교 근방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과잠을 입는 것이 꺼려진다고 말했다. 그는 "동아리 교육 때문에 서울로 오고 갈 때 한 번 과잠을 입은 적이 있다. 학교 근처에서 과잠을 입을 때는 신경 쓰이지 않았는데, 교육 장소에 도착할 때까지 이상하게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 움츠러드는 기분이 들었다."라고 말했다. 학교 근방에서는 인식하지 못했던 시선을 인식하게 되었다며, 쉽게 과잠을 입지 않는 이유를 털어놓았다.

경기도권 대학에 다니는 배수현 씨는 과잠을 잘 안 입는 이유로 사람들의 시선을 꼽았다. 그는 학교의 과잠이 별로여서 입지 않지만 등굣길에 자신의 학교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다 알려주는 듯한, ‘광고’하는 느낌 때문에 과잠을 ‘못’ 입겠다고 말했다. “학교를 올 때 통학 시간이 길어, 서울을 다 돌아서 온다. 스스로 좋은 학교에 다닌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데, 긴 통학 시간동안 과잠을 입고 다니기가 어색했다. 그래서 과잠을 밖에서 입어본 적이 손에 꼽는다”고 말했다. “사람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친구들도 과잠을 잘 안 입기도 하고 같은 학교 학생이 학교 과잠을 입고 다니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고 했다. 자신이 입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학교 과잠을 밖에서 어떻게 입고 다니느냐’며 과잠을 입고 다니는 학생을 꼴불견으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과잠’이라는 옷을 입는 것이 아니라, 대학 이름을 입고 있었다. 그래서 몇몇 학생들은 스스로 남들에게 ‘자랑스럽지 못한 대학’이라고 느끼면 그 대학 이름이 붙어 있는 옷을 입기를 꺼렸다. 그래서인지 몇몇 대학의 일명 '입결이 높은 과'들은 과잠을 만들 때 대학명을 빼고 만들기를 원했다. 기업의 후원으로 유명해진 인천 소재 대학의 인기과는, 과잠이나 단체 바람막이를 맞출 때 대학 이름을 빼고 만들었다. 학내 커뮤니티 분위기는 ‘그 과라면 그럴 만도 하지’와 ‘그래도 같은 대학인데 이름을 지우는 것은 너무한 것 아니냐’로 갈렸다. 학생들은 대학 이름이 아니라 '수능 점수가 높은 과'로 자신들을 봐주기를 바란 것이다.

또한 몇 년 전 일반대로 전환된 서울의 국립대의 경우, 유명 대학과 과잠 마크가 흡사하여 논란이 일었다. 비슷한 부분은 크게 마크를 달고, 학교를 알아볼 수 있는 문구를 밑에 작은 문구로 달았다. 이러한 비슷한 과잠 마크 때문에 학생들끼리는 ‘부끄럽다’는 이야기도 돌았다. 비슷한 과잠을 본 몇몇 사람들은 격하게, ‘학벌 세탁이 아니냐’는 비아냥도 서슴지 않았다.

일부 대학은 과잠의 앞 편에는 학교의 이니셜만 달고, 등판에는 학과 명만을 적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방식 역시 ‘학교를 자랑스럽게 여기지 않는다’거나 ‘학교를 속이려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을 피할 수 없었다. 과잠에 적혀 있는 학교명은 학생들에게 일종의 족쇄였다.

좋은 대학명이 있는 과잠은 선망의 눈길을 얻는 걸까


학생들은 과잠이라는 옷을 입을 때도 자신의 학벌을 신경 써서 입어야 했다. 그런 ‘신경 씀’은 사람들이 말하는 학벌의 높고 낮음을 넘어서 모두에게 적용되었다. 심지어 이전에 과잠에 대해 신경 써보지 않았던 사람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서울 소재 대학의 학생 김지수 씨는 대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과잠의 존재를 몰랐다고 한다. 그래서 과잠을 입고 다니는 일에 대해 크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지만, 한 번 친구로부터 '학교 근처에서 말고 다른 데서 입는 것을 보면 창피하다, 부심 부리는 것 같다'는 말을 듣고 과잠을 입을 때 주저하게 된다고 말했다. "또, 서울대 근처에서는 창피해서 입으면 안 된다는 말도 자주 들었다"라고 답했다.

과잠을 구매하지 않았다는 서울 모 여대의 이민정 씨는 "디자인이 때문이 크지만, 학벌 때문에 안 산 것이기도 하다"고 말문을 열었다. "학교 안이나 근처에서 입을 때는 상관이 없지만, 다른 곳에서 과잠을 입고 당당하게 다닐 정도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며, 열등감에서 온 생각일 수도 있지만, 과잠을 입고 다니는 학생들이 때로는 자신들의 학교를 과시한다고 느껴질 때도 있다고 말했다. 학생에게 과잠은 자신의 학벌에 당당해야만 입을 수 있는 옷이었다.

입학 철에 단체 주문을 통해서 사는 과잠은 대학생들이 다니는 대학에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수단이다. 그런데 우리는 무심코 과잠을 다른 이의 학벌을 재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지하철에서 과잠을 입은 사람을 보았을 때, 등판의 학교명을 확인한 경험이 누구나 있을 것이다. 무의식중에 하는 이런 ‘확인’은 과잠을 마음 편히 입을 수 없게 한다. 그래서 어떤 이에게는 과잠이란, 큰마음을 먹지 않고는 입을 수 없는 옷이다.

쌀쌀해지기 시작하면서 학교 마크를 단 과잠을 입고 다니는 학생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물론 과잠을 잘 착용하는 학생들도 있다. 하지만 사고서도 안 입거나 혹은 못 입겠다는 학생들, 아예 과잠을 사지 않은 학생들도 있다. 단순한 옷인, 옷이어야 할 과잠이 ‘학벌’이라는 이름하에서 우리를 지나치게 옭아매는 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