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통합진보당’이라는 당명부터 우스운 것이었다. 스스로가 진보 정치의 ‘적자’임을 선언하는 듯하지만, 사실상 통합진보당은 ‘진보당’ 보다는 ‘통합당’에 가까운 정당이었기 때문이다. 창당 과정에서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유시민과 국민참여당을 끌어들인 것이나, 진보신당, 녹색당 등의 다른 진보 정치 세력들을 배제하고 갔다는 점에서 그렇다. 다른 가치를 제쳐두고라도 선거 승리를 위해 뭉칠 수 있는 세력들을 규합하고, 진보 정치가 무엇인가를 질문하는 귀찮은 세력들은 내쳐버린 것이나 다름없다.

선거용으로 정당이 급조되는 과정에 이미 후일 벌어질 문제들이 내재하고 있었던 것일 테다. 통합진보당의 ‘나쁜놈’들로 규정되고 있는 민주노동당 당권파 세력과 국민참여당 세력의 의사 결정 시스템 자체는 애초에 섞이기 힘들만큼 다른 것이었으며, 창당 당시에 진보신당을 탈당한 노회찬․심상정을 필두로 한 진보신당 탈당파는 애초에 이러한 문제 때문에 민주노동당을 떠났던 전력이 있었다. 다른 의사 결정 시스템만큼이나 국정 현안에 대한 당내 세력 간 인식 또한 큰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통합진보당, 그리고 민주통합당과의 ‘야권연대’가 선거를 ‘반MB 선동’만으로 치러낼 수밖에 없었던 것도 여기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 제대로 된 대안을 제시하기엔 내부에 산재한 갈등이 너무 많았고, 이 갈등이 선거가 끝나자마자 봇물 터지듯 폭발하는 것이다. 물론 이 정도의 충격파가 오리라는 예상을 하지는 못했으니 여기까지 달려왔을 테지만 말이다. 이렇게까지 언론과 여론의 뭇매를 맞으며 전 국민의 ‘관심’을 받게 될 줄 누가 알았겠는가.

ⓒ 시사뉴스라인



비상대책위원회가 출범했지만 큰 반전을 일으킬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본다. 이미 드러나 있는 것처럼 당권파 세력은 비대위의 권위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민주노동당 시절부터 다져온 커다란 기반이 있는 당권파가 통합진보당 내에서 세력 자체를 잃게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 생존의 위기에서 총선 승리라는 반전을 이뤄냈던 ‘새누리당 비대위’와 비교하면 ‘통합진보당 비대위’의 현실은 더욱 초라하다. 새누리당의 경우, 당원들 사이에 ‘우리 당이 위기’라는 공유된 인식이 있었으며 박근혜라는 권위가 있었고 조중동이라는 비호세력이 있었다. 그러나 통합진보당 당권파는 여전히 국민의 마음을 얻는 일보다 자신들의 이익을 수호하는 것을 우선에 놓는 것으로 보이며, 당내에 권위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도 없는데다가, 통합진보당을 쉴드 쳐주는 메이저 언론마저 부재하다. 끝없는 싸움과 정쟁 속에 국민들도 이미 통합진보당에 마음을 돌려버렸을 가능이 높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국민들이 마음을 돌린 대상은 통합진보당이지 진보 정치 그 자체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제대로 된 진보 정치를 희망하는 국민들의 비율이 과연 통합진보당이 4.11 총선에서 득표한 10.31% 뿐일까. 2004년 민주노동당은 13.03%의 득표율을 얻었다. 일부 지역구에서는 ‘통합진보당’ 타이틀을 달았던 후보들이 과반을 얻어 당선되기도 했다. 통합진보당의 총선 성적을 ‘반쪽 성공’이라고 칭하기조차 민망한 이유다. 통합진보당의 경우, 진보 정치에 희망을 품는 모든 국민들을 끌어오기에 꺼림칙한 부분이 너무 많았다. 그럴듯한 대안을 제시하지도 못했고, ‘종북, 경기동부, 당권파’와 같은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진보 정치를 희망하는 많은 국민들이 통합진보당에서 희망을 보지 못했고, 민주통합당 쪽으로 표심을 돌렸다. 즉, 통합진보당은 그릇이 작았다는 얘기다.

진보 정치는 통합진보당의 것이 아닌 것 같다. 아니, 아니어야 할 것이다. 가장 민감한 종북의 혐의를 입고, 민주주의의 기본을 훼손하는 폭력집단이라는 이미지를 가진 당권파 세력이든, 갑작스럽게 ‘진보’의 대열에 들어와 당권파의 붕괴를 틈타 당내 권력 쟁취를 노리는 유시민 세력이든 국민이 원하는 진짜 진보 정치를 실현할 수 있는 세력은 아닌 것 같다. 하지만 통합진보당이 죽는다고 해서 진보 정치가 죽는 것은 아니다. 진보 정치를 염원하는 국민들이 있고, 진보 정치를 만들어가려는 정치인들도 분명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통합진보당 문제만을 가지고 진보정당, 진보 정치의 위기를 논하는 언론들은 진실을 호도하고 있는 것이다.

진보 정치에 희망이 있을 것인가의 문제는 통합진보당이 살아날 수 있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통합진보당 사태를 바라보는 진보 정치 세력의 현실인식이 어느 위치에 있느냐의 문제다. 진보답지 않은 진보의 모습을 부끄러워하고 개선의 의지를 드러내려고 하는지, 단순히 현 상황의 문제들을 덮고 가는데 급급한 모습을 보이는지 우리는 지켜보면 될 일이다. 이는 끝장토론을 비롯한 앞으로의 ‘발언 기회’들을 통해 확인하면 될 것이다. 찐하게 반성하고, 그동안 진보의 척박한 토양을 일궈왔던 ‘짬’으로 다시 시작하면 될 것이다. 이번에 드러난 진보 정치의 걸림돌들을 어영부영 넘기지 말고 제대로 청산해야 함은 물론이고 말이다.